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재물보험사 FM “천안 물류센터 화재 사전 예방 미흡”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재물보험사 FM “천안 물류센터 화재 사전 예방 미흡”

겨울철 건조·난방으로 위험 요인 누적
15일 오전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이랜드패션 물류센터에서 불이 나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15일 오전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이랜드패션 물류센터에서 불이 나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천안 패션기업 물류센터 화재가 산업시설의 겨울철 안전관리가 여전히 구조적 취약성을 안고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두고 발생한 이번 사고는 단순한 창고 화재를 넘어 국내 공급망 전반을 흔들 수 있는 사건이었다는 경고다.

18일 세계 최대 재물보험사 FM에 따르면, 한국의 겨울철 산업시설은 일반적 인식과 달리 매우 높은 화재 리스크에 노출돼 있으며, 전기 부하 증가와 정전기 축적, 건조한 환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작은 불씨가 대형 사고로 번지기 쉬운 구조’를 갖고 있다고 했다. 실제로 소방청 통계에서도 최근 5년간 겨울철 화재는 연평균 1만1000건으로 전체 화재의 28%를 차지했으며, 공장·창고 화재의 절반 이상이 전기적·기계적 요인에서 시작됐다.

천안 물류센터의 경우 일부 건물이 붕괴될 만큼 불길이 장시간 이어졌고, 내부 적재물도 대규모로 소실됐다. 문제는 산업시설의 화재가 사고 이후 비용이 더 큰 유형의 손실이라는 점이다. 생산 중단, 납기 차질에 따른 고객 이탈, 대체 설비 확보 비용, 장기적 브랜드 가치 훼손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화재를 계기로 한국 산업시설이 여전히 ‘사후 점검·사후 대응’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비판한다. 전기 설비 과부하, 가연물 적치 기준 위반, 분진 및 덕트 관리 부실, 정전기 축적 등 다층적 요인이 얽혀 사고로 이어지는데, 기업 내부 인력만으로 이를 완벽히 통제하기에는 한계가 명확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전문 기관과 협업한 정량적·과학적 리스크 관리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FM이 강조하는 ‘리스크 엔지니어링 기반 예방체계’가 대표적이다. FM은 미국 로드아일랜드에 위치한 대규모 실험시설(FM 리서치 캠퍼스)에서 실제 화재·폭발 조건을 재현해 산업별 위험 패턴을 분석하고, 기업이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스프링클러 성능 기준, 가연물 배치 원칙, 전기·기계 설비 위험 진단, 덕트·분진 관리 방식 등이 모두 데이터 기반 엔지니어링 솔루션으로 제공된다.

최종호 FM 아시아 태평양 필드 엔지니어링 그룹 매니저(Assistant Operations Engineering Manager, Asia Pacific)는 “이번 천안 물류센터 화재는 단순한 설비 문제가 아니라 기업의 공급망과 국가 소비 활동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리스크임을 보여준다”며 “사전에 취약 지점을 찾아 통제하는 리스크 엔지니어링 기반의 예방 체계 없이는 기업이 예측 불가능한 충격에 흔들림 없이 대응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