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부총리·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외환시장 구두개입성 메시지 잇달아 공개
12월 미국 연준 금리 동결 전망에 미국국채 금리 상승에 달러 강세
주요국 통화인 일본의 엔화·중국의 위안화 약세에 원화 약세 움직임 강화
12월 미국 연준 금리 동결 전망에 미국국채 금리 상승에 달러 강세
주요국 통화인 일본의 엔화·중국의 위안화 약세에 원화 약세 움직임 강화
이미지 확대보기17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이날 원·달러 환율은 1458.0원으로 주간 장을 마감했다. 이는 전 거래일 대비 1.0원 상승한 것이다.
정부는 환율이 심리적 저항선인 1480원대를 위협하자 외환시장에 개입하며 외환시장 안정화에 나섰다. 구윤철 부총리는 지난 14일 시장상황점검회의에서 "외환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으로 가용 수단을 적극 활용해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며 외환시장 구두개입에 나섰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12일 "환율 변동성을 주시하고 있으며, 과도하게 움직일 때는 개입할 의향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당국의 메시지에도 달러 상승 압력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달러 강세를 자극하고 있다.
주요국 통화인 일본의 엔화와 중국의 위안화 약세 또한 달러 강세와 더불어 원화 약세를 이끌고 있다.
일본은 다카이치 내각이 17조 엔 규모의 경기부양 패키지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리며 엔화 약세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다카이치 내각이 검토하는 17조 엔 규모의 경기부양 패키지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를 제외하면 2013년 아베 신조 총리 시기 이후 최대 규모다. 또 중국의 경제지표 부진으로 위안화 역시 약세 움직임을 보이며 원화 약세 기조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처럼 복합적인 달러 강세 재료들로 인해 내년 초에도 이러한 1400원대 고환율 기조는 이어질 전망이 우세하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2026년 원·달러 환율은 1460원~1320원대를 전망한다”면서 “원화는 거주자 해외 주식투자 확대와 기업 생산기지 이전으로 실물경기와 금융시장에서 달러 수요가 구조적으로 증가하는 난관에 봉착했다”고 말했다.
한편 강달러 심화에 정부의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다음 스텝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는 지난 시장상황점검회의에서 국민연금과 해외 수출업체들과 논의를 통해 환율 안정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시장에서는 국민연금의 전략적 환헤지가 유력한 카드로 거론되고 있다. 전략적 환헤지는 국민연금이 내부 기준 환율을 웃돌 경우 해외투자 자산의 환헤지 비율을 0~10% 범위 안에서 조정하는 운용 전략을 의미한다.
구성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oo9koo@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관광주 매도세로 소폭 하락](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4080515474400644e250e8e1881062522498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