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정부가 발표한 '2017년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2.6%다. 지난 6월 전망치인 3.0%보다 0.4%포인트나 크게 내렸다.
이에 따라 우리 경제는 지난 2015년(2.6%)에 이어 3년 연속 2%대 성장에 머물 가능성이 커졌다. 올해 성장률도 2.6% 안팎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정부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낮춘 배경은 금리 및 유가상승에 따른 '내수 둔화'다. 무엇보다 13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가 소비를 제약하는 요인이다.
상반기에는 정부의 재정 조기집행 등으로 일부 회복세가 예상되지만, 미 트럼프 정부의 출범은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하반기에는 구조조정 효과가 내수회복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 민간소비가 올해(2.4%)보다 위축된 2.0% 증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3.3% 뒷걸음질쳤던 설비투자의 경우 정보통신(IT)을 중심으로 2.8%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구조조정 및 제조업가동률 하락 등 기업의 심리회복은 지연되고 있지만 정부의 정책효과가 투자를 견인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올해 부동산시장 호황으로 10.8%나 늘었던 건설투자는 준공물량 증가, 착공면적 감소 등으로 4.0% 증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내년까지 예정된 대규모 분양물량과 평창올림픽 관련 건설수요 등은 비거주용 투자를 일부 견인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개발(R&D) 등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IT업계를 중심으로 올해(2.4%)보다 늘어난 2.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의 내년 취업자 증가 전망치는 26만명으로 30만명에 크게 못미쳤으며, 실업률도 올해(3.8%)보다 소폭 상승한 3.9%로 예측됐다. 조선·철강 등 구조조정과 함께 제조업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유가·곡물가격 상승으로 올해보다 0.6%포인트 오른 1.6%로 예상됐다.
올해 6.1%나 줄었던 수출의 경우 반도체·디스플레이 등을 중심으로 내년 2.9% 반등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휴대전화 경쟁격화, 부품 현지화 등은 하방요인으로 지목됐다.
경상수지는 수출보다 수입이 크게 늘면서 올해(940억달러)보다 흑자폭이 줄어든 82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공인호 기자 ihkong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