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업분석] 폭행죄로 입건된 김승연 회장 3남 김동선씨가 근무하는 한화건설은? 지난해부터 흑자전환하는데 이미지 ‘먹칠’… 2016년 9월 말 영업익 1122억원

글로벌이코노믹

[기업분석] 폭행죄로 입건된 김승연 회장 3남 김동선씨가 근무하는 한화건설은? 지난해부터 흑자전환하는데 이미지 ‘먹칠’… 2016년 9월 말 영업익 1122억원

한화건설의 최대주주는 ㈜한화로 지분 93.75% 보유… 연이은 오너家 폭행 사건 후유증 우려 목소리도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셋째 아들인 김동선(28)씨가 술집에서 주먹을 휘두르다 경찰에 입건됐다.

김씨는 5일 오전 4시10분께 청담동에 있는 한 술집에서 술에 취해 종업원 2명의 머리를 때린 혐의(폭행)로 조사를 받고 있다.

김씨는 지난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승마 마장마술 단체전에서 최순실씨(61·구속기소)씨의 딸 정유라(21)씨와 함께 출전해 금메달을 목에 걸은 바 있다.

김씨는 현재 한화건설에서 신성장전략팀 팀장으로도 근무하고 있다.
한화건설은 지난 2014년과 2015년 대규모 적자를 보이다 지난해부터 흑자로 돌아섰는데 김씨의 폭행사건으로 회사 이미지가 추락해 자칫 흑자기조에 ‘흠’이 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이미지 확대보기

한화건설은 지난 2014년 연결기준 매출액 3조3209억원, 영업이익 -4110억원, 당기순이익 -4119억원에 이어 2015년에도 매출액 2조9764억원, 영업이익 -4394억원, 당기순이익 -4546억원을 기록했다.

이어 2016년 9월 말 현재 매출액 2조704억원, 영업이익 1122억원, 당기순이익 3466억원을 나타냈다.

무엇보다 한화건설의 신성장전략팀 팀장을 맡고 있는 김 회장의 셋째아들이 술집에서 폭행에 이어 경찰차 안에서도 난동을 피운 것으로 알려져 한화건설로서는 ‘폭행 이미지’의 김씨가 신성장전략팀을 맡는 데 대한 부담감을 느낄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김씨의 폭행사건은 단지 한화건설에 악영향을 주는 것만 아니라 모기업인 ㈜한화에도 영향을 주는 구도다.

한화건설의 최대주주는 한화로 지분 93.75%(2870만1800주)를 보유하고 있다.

한화건설의 실적은 고스란히 한화의 연결 실적으로 반영될 수 밖에 없고 김씨로 인한 한화건설의 피해는 한화의 실적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김동선씨는 지난 2010년에도 서울 고급호텔에서 소란을 피우고 집기를 부순 혐의(재물손괴)로 불구속 입건됐고 피해자와 합의 후 기소유예 처분을 받은 적 있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번 김씨의 폭행 사건은 단지 김씨 사건으로만 그치지 않을 수 있고 한화 오너家의 폭행사건으로 비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우려된다.

지난 2014년 2월에는 김 회장의 차남인 김동원(32)씨가 대마초를 피운 혐의로 기소돼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과 함께 약물치료 강의 수강 명령을 받은 바 있다.

김동원씨가 현재 한화생명 전사혁신실 부실장(상무)을 맡아 그룹의 금융부문 혁신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것도 부담이 될 수 있다.

과거 김동원씨는 지난 2011년에 교통사고를 내고 아무런 구호조치를 하지 않고 도주한 혐의로 적발돼 법원으로부터 벌금 700만원의 약식 명령을 받기도 했다.

자료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김승연 회장의 이른바 '보복 폭행' 사건도 차남 김동원씨에게서 시작됐다.

김 회장은 지난 2007년 3월 서울 청담동 가라오케에서 당시 22세이던 차남이 북창동 S클럽 종업원 일행과 시비가 붙어 다치자 자신의 아들과 싸운 S클럽 종업원 4명을 차에 태워 청계산으로 끌고가 쇠파이프 등으로 폭행했다.

김 회장은 보복 폭행 혐의로 구속됐으며 1심에서 징역 1년6월이 선고됐다.

김동선씨의 폭행사건을 계기로 한화그룹 오너가의 거듭되는 폭행 행위에 대한 국민들의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져 가고 자칫 흑자기조를 보이는 한화건설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대성 경제연구소 부소장 kim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