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미국, 유럽 등지에서 본격적인 M&A 실행 나설듯"
이노션은 현재 6690억원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이노션의 주가가 5만9800원 수준일 때를 기준으로 한 시가총액 1조2000억원의 약 56%에 달하는 규모이다.미래에셋대우 문지현 연구원은 “이노션이 보유 현금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기업가치와 ROE(자기자본이익률)이 달라질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문 연구원은 이노션이 올해 중국과 미국, 유럽 등지에서 M&A(인수합병) 등을 실행할 계획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작년 미국에 자회사 캔버스(Canvas)를 신설했으나 M&A는 아니었고 미국의 호라이즌(Horizon)이라는 미디어 광고 기업과 JV(조인트벤처) 형태로 법인을 세워 인력을 직접 뽑는 형태였다.
문 연구원은 중국의 경우 광고 시장의 약 50% 비중이 디지털 매체로서 이노션의 중국 투자도 디지털 사업과 밀접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은 기아차의 크리에이티브(광고물 제작) 대행사의 계약이 2017년 말에 만료가 예정되어 있어 이노션의 미국 M&A 검토 대상은 기아차 크리에이티브를 대행할 수 있을만한 기업으로 집중될 전망이다.
유럽 부문은 특히 영국이 디지털 광고 기술 등의 측면에서 선도적인 편으로 알려져 있어 디지털 광고 관련 M&A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문 연구원은 판단하고 있다.
문 연구원은 “글로벌 광고 업계가 M&A를 통한 성장을 모색하고 있다”면서 “적절한 Valuation(가치평가)의 M&A를 통해 신규 광고주를 확보하고 뉴미디어 사업 역량이 강화된다면 기업가치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노션의 2016년 9월 말 현재 재무상태를 보면 현금 및 현금성자산 2024억원, 단기금융상품 3951억원, 매출채권 5643억원 등 유동자산이 1조2144억원 규모에 달한다.
유동자산은 1년 내 자산을 팔아 현금화 할 수 있는 돈으로 현금동원력을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다.
이노션의 꾸준한 실적 개선도 현금력을 높여주는 뒷 힘이 되고 있다. 매년 수백억원이 넘는 순익이 발생하면서 현금이 차곡차곡 쌓이는 구조다.
이노션의 2016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516억원(전년비 +6.4%), 영업이익 994억원(전년비 +7.0%), 당기순이익 780억원(전년비 +0.0%)으로 잠정 집계됐다.
증권가에서는 이노션이 올해 M&A를 본격화 할 것이라는 데 대체적으로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하이투자증권 김민정 연구원은 “올해에는 M&A가 가시화될 것”이라며 “인수 대상이 중국 디지털 광고대행사일 가능성이 높고 유럽 지역의 디지털 부문, 미국 지역의 광고제작사를 인수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판단했다.
이베스트투자증권 김현용 연구원은 “현대차 계열의 탄탄한 수요에 막대한 현금흐름으로 공격적 M&A 가능성이 상존하다”면서 “기아차 미주지역 매체대행이라는 성장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대성 경제연구소 부소장 kimds@


















![[뉴욕증시] 빅테크 혼조세 속 3대 지수 반등](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0606332005305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