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4·19혁명의 정신을 인류에게 남기기 위해 4·19혁명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강북구 국립 4·19민주묘지에서 거행된 제60주년 4·19혁명 기념식 기념사에서 "4·19혁명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한 국가 중 최초의 민주화운동이고, 전 세계 학생운동의 시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국립 4·19민주묘지는 민주주의의 성지로 2022년까지 부족한 안장능력을 확충해 모든 유공자들을 명예롭게 모실 수 있도록 하겠다"며 "또 하반기로 연기된 '4·19혁명 국민문화제'가 60주년의 의미에 걸맞은 국민 모두의 축제가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4·19혁명은 민주주의를 향한 전 국민의 공감과 저항 정신이 축적된 결과였다. 4·19혁명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굳건한 뿌리"라면서 "'주권재민'을 훼손한 권력을 심판하고, 정치·사회적 억압을 무너뜨린 혁명이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4·19혁명이 남긴 '민주주의의 시간'은 짧았지만 강렬했다"며 "5·16 군사쿠데타로 시작된 '독재의 시간'은 길고 어두웠지만, '4․19민주이념'은 끝내 우리 헌법의 정신으로 새겨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 땅의 위대한 민주주의의 역사를 반드시 기억하면서, 그 자부심으로 더 성숙한 민주주의를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엄중한 상황을 헤쳐 가는 힘도 4·19정신에 기반한 자율적 시민의식에서 비롯됐다"고 평가했다.
또 "국민들은 나보다 우리를 먼저 생각하며 일상을 양보해 주셨고, 사재기 하나 없이 함께 어려움을 이겨냈다"며 "우리가 억압 속에서 지켜낸 민주주의, 우리가 눈물 속에서 슬픔을 나누며 키워온 연대와 협력이 함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세계의 모범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자랑스럽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경제를 살리고 국민의 삶을 지키는 데 총력을 다할 것이다. 하지만 엄중한 세계적 경제위기 속에서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며 "경제 살리기에도 국민의 '연대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 특히 일자리 지키기에 노·사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협력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정부는 노사 합의를 통해 고용을 유지하는 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그와 함께 정부는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을 위해서도 고용 안전망과 사회 안전망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