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날 가장 중요한 행사는 역시 조상님 모시는 것 즉 차례이다. 설날 차례 상을 차릴 때에는 진설(陳設) 원칙에 따라야한다. 진설이란 제사를 지낼 때 제사상 위에 음식을 차리는 법도이다.
이 진설에는 크게 여섯 가지의 원칙이 있다. 조율이시, 홍동백서, 좌포 우혜, 시접거중,어동육서 그리고 두동미서가 바로 그 6가지 진설의 원칙이다.
좌포우혜(左脯右醯)란 포를 좌편에 식혜를 우편에 놔 둔다는 원칙이다. 어동육서(魚東肉西) 란 어류는 동편에, 육류는 서편에 놔 둔다다는 법도이다. 두동미서(頭東尾西) : 생선 머리는 동편 그리고 꼬리는 서편으로 향하게 놔둔다는 지침이다. 조율이시(棗栗梨枾)란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놓는다는 원칙이다. 홍동백서(紅東白西)란 붉은 색깔의 과일은 동편그리고 하얀색 과일은 서편에 놔 둔다는 것이다.
좌포우혜(左脯右醯)란 포를 좌편에 그리고 식혜를 우편에 .
어동육서(魚東肉西) : 어류는 동편에, 육류는 서편에
두동미서(頭東尾西) : 생선 머리는 동편, 꼬리는 서편으로
조율이시(棗栗梨枾) :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색깔의 과일은 동편, 하얀색 과일은 서편에 놔둔다.
또 시접거중 또는 시접중앙의 원긱도 있다. 술잔, 밥, 시접, 국, 떡국에 관한 원칙이다. 술잔은 왼쪽(서쪽), 떡국은 오른쪽(동쪽)에 놓는다. 어동육서 동두서미 원칙에서는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을 올리되 이때 어동육서에 따라, 고기로 만든 것은 왼쪽(서쪽), 생선으로 만든 것은 오른쪽(동쪽)에 놓는다. 생선은 두동서미에 따라 머리는 동쪽에 꼬리는 서쪽이 되도록 놓는다.
3번째 열에는 탕을 놓는다. 육탕, 소탕, 어탕 원칙이다. 소탕은 두부, 채소 등으로 만든 탕이다. 고기로 만든 육탕이 왼쪽(서쪽), 어탕이 오른쪽(동쪽)에 위치한다. 제4열은 좌포우혜가 원칙이다. 포, 삼색나물, 침채(물김치), 식혜을 놓되 생선포를 왼쪽(서쪽)에, 식혜를 오른쪽(동쪽)에 올린다. 제5열은 조율이시 홍동백서이다. 조율이시에 따라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놓은다.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차린다.
예로부터 삼치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들어간 생선은 천박하다하여 차례상에 올리지 않았다. 복숭아와 같이 털이 있는 과일도 경박하아하여 차례상에 올리지 않는다. 차례 음식에는절대 향신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고춧가루나 마늘은 귀신을 쫓는 음식으로 보았다. 짝수는 양을 의미하고 홀수는 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례상에 음식을 올릴 때는 홀수의 개수로 올리는 것이 원칙이다.
김재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