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대교수 비대위 온라인 긴급 총회 열어

전국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23일 이런 내용을 논의하기 위해 온라인 긴급 총회를 열었다. 서울대 의대와 울산대 의대 등 개별 의대 교수 비대위도 이날 총회를 했다.
전의비에 참여한 의대는 ‘빅5’(서울대·세브란스·서울성모·서울아산·삼성서울) 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서울대, 연세대, 울산대, 성균관대, 가톨릭대와 계명대, 고려대, 강원대, 건국대, 건양대, 경상대, 단국대, 대구가톨릭대, 을지대, 이화여대, 부산대, 아주대, 원광대, 인제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북대, 한양대 등 24곳이다.
총회에서는 이들 교수가 속한 수련병원의 외래진료나 수술 일정 축소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충남대병원·세종충남대병원 비대위는 오는 26일부터 매주 금요일마다 전원 휴진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비대위 소속 교수 336명 중 136명이 참여 의사를 밝혔다.
이날은 가톨릭의대 8개 병원 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하겠다고 예고한 날이기도 하다.
하루 전인 25일은 일부 의대 교수들이 각 병원에 사직서를 제출한 지 1달이 되는 시점이라 민법상 사직효력이 발생한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큰 혼란 없이 의료시스템을 유지해나가고 있다”며 “25일 집단 사직은 효력이 발생한다고 볼 수 없다”며 일축했지만, 의대 교수들이 속속 자리를 비울 가능성이 커지자 환자들의 신음은 점점 커져가는 상황이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