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 안산 도시기본계획 공고

시는 지난달 30일 시의 미래와 장기 발전 방향을 담은 ‘2040년 안산 도시기본계획’을 공고했다고 4일 밝혔다. 해당 계획(안)은 지난달 19일 경기도의 최종 승인을 받은 바 있다.
도시기본계획은 1982년 도시계획법 개정에 의해 법정 계획화됐으며 토지의 이용 및 개발, 보전을 위한 국토관리의 지속가능성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국토종합계획 △도종합계획 △광역도시계획 등 상위계획의 내용을 담아 시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미래상을 제시하고 정책 및 전략계획을 실현할 수 있는 도시관리계획의 지침적 성격의 위상을 갖는다.
시는 앞서 지난 2019년부터 시민 및 관계 전문가 등 108명으로 구성된 시민참여단을 운영, 시민이 생각하는 미래 비전과 기본구상에 대한 의견수렴을 통해 ‘미래를 열어가는 젊은 글로벌 다문화 경제안전도시(Rainbow of Diversity)’를 도시미래상으로 설정했다, 여기에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성장동력의 중심 ‘미래경제도시’ △모두가 평등하고 협동하는 안전한 공동체 ‘안전공감도시’ △서해 청정관광과 내륙 문화가 공존하는 ‘행복관광도시’를 3대 계획 목표로 세웠다.
2040년 목표 계획인구는 자연적 인구 62만5000명과 사회적 인구 8만2000명, 전국 최대의 국제 상호문화도시답게 외국인 인구 9만6000명을 더한 총 80만3000명으로 설정했으며 이는 6월 기준 인구보다 약 13만 명 이상 증가한 수치다,
시의 도시공간구조는 기존의 1도심(중앙), 6지역 중심에서 지역 간 연계성 부족, 지역 자족성 결여 및 도심 귀속 현상을 해결하고 균형발전과 더불어 도시기능의 효율적 배분·역할 수행을 위해 1도심(고잔), 2부도심(반월·성포), 6지역(대부·신길·선부·장상·본오·사동) 중심으로 개편했다.
생활권은 행정동 경계를 중심으로 인구 운영의 유연성 및 주요 기능 등을 고려해 △상록 에코정주생활권 △중앙 행정중심생활권 △반월 산업동력생활권 △대부 해양레저생활권 등 총 4개 권역으로 구분했다.
아울러 효율적인 토지이용을 위해 안산시 전체 계획구역 42만5088㎢ 중 향후 도시발전을 대비해 7.431㎢는 시가화예정용지로 반영하고 기존 개발지 45.097㎢는 시가화용지, 나머지 372.560㎢는 보전용지로 계획했다.
특히, 토지이용계획 중 도시개발사업 등을 통해 개발 공간으로 활용될 시가화예정용지는 시 내·외곽지역에 8개소(약 112만 평), 대부동 지역에 8개소(약 113만 평) 등 총 16개소(약 225만 평)로 계획함으로써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조성과 대부동 지역의 개발가용지 확보, 인구 및 자족 기능을 확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이 외에도 도시기본계획에는 △도로, 철도, 공공시설, 상·하수도 등의 기반시설계획 △도시재생, 도심 및 시가지 정비계획 등의 도심 및 주거환경계획 △경관계획 △공원녹지계획 등 도시발전을 위한 다방면의 부문별 계획을 담고 있다.
이민근 안산시장은 “2040년 안산시의 미래 비전과 장기 발전 방향을 제시한 도시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함에 따라 3기 신도시 조성 및 각종 개발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며 “현재 진행 중인 2030년 도시관리계획 재정비도 세심히 살펴 시민과 함께 살고 싶은 도시 안산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40년 안산도시기본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안산시청 누리집 고시공고란에서 열람할 수 있다.
이관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0099h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