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일 시장 직접 현장 찾아 대응…“피해는 결국 시민 몫” 경고

파주시는 지난 21일 오후, 문산읍 폐건물 인근에서 대북전단 살포 첩보를 입수하고, 공무원 수십 명과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특사경)을 긴급 투입해 현장 대응에 나섰다고 25일 밝혔다.
해당 첩보는 이날 오후 6시쯤, 북한을 향한 전단 살포가 예정돼 있다는 내용으로, 파주시와 경기도특사경은 첩보 접수 약 3시간 전부터 해당 지역에서 상황 대기와 순찰을 병행하며 감시를 강화했다.
현장에는 김경일 파주시장도 직접 출동해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에 배치된 공무원들과 특사경 인력을 격려했다.
김 시장은 “대북전단으로 인한 보복 위협과 고통은 고스란히 파주 시민과 국민이 감당하고 있다”며 “실제 살포 행위가 벌어진다면 온몸으로라도 막겠다”고 말했다.
다행히 해가 진 뒤 살포를 시도한 단체는 출현하지 않았고, 우려됐던 물리적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파주시는 지난해 10월 16일, 관내 전역을 재난안전법에 따른 ‘위험구역’으로 설정한 바 있다. 이후 접경지역에서의 대북전단 살포를 막기 위해 24시간 순찰 체계를 운영 중이며, 최근 5개월간 파주시 관내에서는 단 한 건의 살포 행위도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접경지역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특히 민통선 안팎의 마을에서는 북한의 대남확성기 방송 소음으로 인해 수면 장애, 두통, 이명 등을 호소하는 주민이 늘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우리 군의 대북확성기 방송에 대해서도 “쌍방 확성기 전쟁은 주민 피해로 이어진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현재 대성동과 탄현면 주민들은 소음 피해 중단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준비 중이며, 이를 국방부에 공식 제출할 계획이다.
파주시 관계자는 “대북전단은 정치적 상징 이상의 실제 위협을 초래한다”며 “앞으로도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접경지역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