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시에 따르면, 철도망 확충, 청년 임대주택 공급, 지역화폐 발행, 출산지원금 확대, 안양천 국가정원 조성 추진 등 시민 삶에 밀접한 정책들이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시민 9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책만족도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91.3%가 시정 운영에 대해 ‘잘하고 있다’(17.1%) 또는 ‘잘하는 편이다’(32.4%), ‘보통이다’(41.8%)라고 응답했다. 부정적인 평가는 ‘잘 못하는 편이다’(7.1%)와 ‘잘 못하고 있다’(1.6%)를 합해 8.7%에 그쳤다.
긍정 평가 이유로는 ‘정책이 실제 생활에 도움이 돼서’가 44.1%로 가장 높았으며, 정책에 대한 시민의 관심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매우 관심 있다’와 ‘어느 정도 관심 있다’는 응답이 80.8%에 달했다.
청년특별도시 분야에서는 ‘청년 임대주택 공급’이 38.4%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는 2022~2024년 262세대를 공급 완료했고, 올해도 최대 171세대를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전월세보증금 대출이자 지원, 이사비 지원 등 주거 안정을 위한 다양한 청년 정책을 추진 중이다.
경제중심도시 분야에서는 ‘지역화폐 안양사랑페이’가 50.4%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안양시는 2022년 2,129억 원, 2023년 2,295억 원, 올해 상반기까지 1,129억 원 규모의 지역화폐를 발행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해왔다. 하반기 추가 발행도 검토 중이다.
복지 분야에서는 출산지원금 2배 인상(23.6%), 화성 함백산추모공원 운영(21.8%), 청소년 교육비 지원(21.2%)이 대표 성과로 꼽혔다. 특히 출산지원금 확대는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중 최초 사례로, 실질적인 저출산 대응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중고생 교복·체육복, 초등 입학·졸업 지원 등 교육 관련 정책도 호응을 얻었다.
문화·녹색도시 분야에서는 ‘안양천 국가정원 조성 추진’이 31.8%로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안양시는 경기 4개 지자체와 함께 산림청의 지방정원 조성 예정지 승인을 받아 하반기 본격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2029년 국가정원 지정을 목표로 한다.
이밖에도 △청년 이사비 및 대출이자 지원 △어학·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장기 공사 중단 건축물 철거(원스퀘어) △스마트 도시 안전 서비스 △공공체육시설 확충 △서울대 관악수목원 전면 개방 추진 등 다수의 정책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향후 시에 필요한 정책 분야로는 ‘도시계획 및 개발’이 45.9%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복지·교육·건강’(34.4%), ‘청년·저출산’(31.3%)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경부선 철도 지하화, 복지사각지대 해소, 문화시설 확충, 노인 일자리 확대, 공용주차장 확보 등이 주요 수요로 확인됐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민선 8기 3주년을 맞아 시민의 목소리에 다시 한번 귀 기울이며 각 분야 정책을 꼼꼼히 점검하고 있다”며 “남은 시간도 현장을 발로 뛰며 시민 마음에 답하는 행정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이지은 이형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uk151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