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음악 본질은 자유인데, 우리는 갇혀 있었습니다"
상업 축제로 전락한 공공문화 행사, 비판 여론 거세
상업 축제로 전락한 공공문화 행사, 비판 여론 거세

이 달 1일부터 3일까지 송도 달빛축제공원. 찜통더위 속, 휠체어를 탄 관람객과 다리 등이 불편한 이들은 힘겹게 행사장을 향해 움직였다. 주차장부터 행사장까지는 수백 미터 이상을 걸어야 하며, 휠체어 이용자는 접근 자체가 불가능에 가깝다고 한다.
행사장 입구는 귀빈 차량 외에는 진입이 불가능하도록 통제됐고, 장애인 동승 차량은 제외됐다. 장애인을 위한 배려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관계 용역업체의 ‘갑질’은 마치 신적인 존재처럼 행사장을 통제해 관람객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는 임시로 설치됐으며, 흙바닥 비산먼지와 메인 스테이지 쪽으로 향하는 진입로에는 안내원도, 길 안내도 없었다. 에어콘이 있는 장애인 화장실은 행사장 외곽에 위치해 있었다. 긴급 경우 이용하기 어려웠고, 그마저도 하나는 행사 스태프가 점령해 있었다.

20주년이 됐지만, 시스템은 제자리였다. 주관사와 기획사는 매년 동일했고, 용역업체도 수년째 고정이었다. 입찰은 형식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현장에서는 “행사가 커질수록 접근성은 더 나빠졌다는 것, 반면 VIP 구역은 잘 꾸며져 있었다. 일반 시민과 약자를 위한 배려는 줄어들었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동 동선은 혼잡하고 비효율적이었다. 몸이 불편한 이들이 가장 먼저 소외되는 구조적 문제가 반복됐다. 이에 시민단체는 “인천시는 펜타포트 지원을 전면 재검토하고, 기획사와 용역사를 전면 교체해야 한다”며 “내년부터는 약자 배려와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지적했다.
락은 자유와 해방을 상징한다. 그러나 현재의 펜타포트는 건강한 사람들만의 상업적 축제로 변질이 됐다. 진정한 문화축제는 사회적 약자도 함께 어울릴 수 있을 때 가능하다. 기획의 수정, 주관·용역사 재선정, 공공성 강화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최재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cjm99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