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시·군, 기후정책 실행력 강화 적극 모색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시·군, 기후정책 실행력 강화 적극 모색

경기도청 전경. 사진=경기도이미지 확대보기
경기도청 전경.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22일 양평군 더힐하우스에서 ‘기후소통 한마당’을 열고 도와 시·군의 기후위기 대응 우수사례를 공유하며 기후정책 실행력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도·시군 탄소중립 녹색성장 위원회 위원장과 민간위원, 탄소중립 이행책임관, 담당 공무원 등 120여 명이 참석했다.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지자체는 기후정책 심의·의결을 위한 위원회를 설치하고, 정책 추진 상황을 점검하는 이행책임관을 지정할 수 있다.

도는 2023년 4월 ‘기후위기대응위원회’를 출범시켰고, 같은 해 1월 경제부지사를 탄소중립 이행책임관으로 지정했다. 현재 도내 24개 시·군이 위원회를 설치했으며, 전 시군에서 이행책임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날 행사는 도내 31개 시군이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하며 추진체계를 마련한 것을 계기로 정책 성과를 가시화하고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2023 서울국제환경영화제 상영작 ‘인어춘몽’을 함께 관람하며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공유했고, 자유토론으로 관람평을 나눴다.

이어 경기도의 ‘기후행동 기회소득 앱’, 성남시의 ‘AI·IoT 활용 자원순환가게 RE100 운영’, 광명시의 ‘시민과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실천도시’, 군포시의 ‘대야지하차도 태양광 일체형 방음시설 설치사업’ 등 기후정책 우수사례가 발표됐다.

또 정혜승 작가와 함께 ‘시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후정책 홍보와 인지도 개선’을 주제로 기후토크가 진행됐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기후재난 피해를 가장 먼저 체감하는 곳이 바로 지방정부”라며 “도와 시군이 긴밀히 협력해 기후정책의 실행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기도 기후위기대응위원회는 김동연 지사와 경제부지사가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도의원과 학계·산업계·노동계·청년 등 각계 전문가를 포함해 총 41명으로 구성돼 운영하고 있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