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 주요 현안에 시민이 직접 정책 대안 제시…권 의원 “시민이 곧 전문가”

이번 회의에는 약 80명의 구리시민이 참여했으며, 경제·일자리, 교통, 안전 등 시민의 삶과 밀접한 3대 분야를 중심으로 총 8개 조로 나뉘어 논의를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사전에 제시된 가이드에 따라 현안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정리해 ‘시민 제안서’ 형태로 제출했다. 각 조는 포스트잇, 보드판 등 시각 자료를 활용해 의견을 구조화하고 공유했으며, 최종적으로는 모든 제안을 집약해 권 의원에게 공식 전달했다.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기법은 일반적으로 전문가 중심 회의나 조직 개발 과정에서 활용되는 참여 도구이나, 이번 회의는 이를 일반 시민 정책토론에 접목한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권 의원은 “구리시에 살고 있는 시민이야말로 구리 정책을 가장 잘 아는 전문가”라며 “정치적 이해나 이념을 떠나 실질적인 생활 현장에서 출발하는 정책이 중요하다는 인식 아래 이 방식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29일 행사를 공동 주관한 느티나무정책자문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3회 시리즈 중 첫 번째로, 9월에는 보건·복지, 교육, 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10월에는 문화·예술, 주민자치, 기타 분야에 대한 회의가 예정돼 있다. 각 회차별 논의 결과는 권 의원의 의정 활동뿐 아니라 향후 구리시 정책 제안에도 참고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회의에 참여한 시민들은 “일방적인 민원 제기나 설문이 아닌, 실제로 정책을 기획해보는 경험을 통해 지역 행정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깊어졌다”며 “정책 결정 과정이 멀리 있지 않다는 것을 실감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일부 참석자들은 향후 시정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관련 분야에 제안서를 개별적으로 제출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이번 행사는 지역 정치의 ‘일상성 회복’이라는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권 의원은 “의정 활동은 시민의 삶과 분리된 것이 아니라 시민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며 “이번 퍼실리테이션 회의를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제도적 틀로 정착시킬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고민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방자치단체의 시민 참여가 여전히 소극적이거나 형식적이라는 비판이 잇따르는 가운데, 구리시의 이번 시도는 실질적 시민참여와 정책반영 가능성 측면에서 타 지자체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의정-시민-행정’ 간 정책순환 구조에 있어 시민 주도 토론이 어떻게 제도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