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과 활동 통한 시민의식이 기후정책 실효성 높여
민간 자발적 활동에 대한 지속적 지원 체계 마련 시급
민간 자발적 활동에 대한 지속적 지원 체계 마련 시급

박 의원은 강동 지역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환경정화 활동에 나서며 기후위기 대응의 의미를 생활 속에서 실천하고 있다는 사례를 제시했다. 그는 “직접 참여한 주민들은 내 주변 공간을 깨끗이 하는 보람을 느끼고, 쓰레기 분리배출의 중요성을 체감했다”며“체험을 통한 시민의식 고취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줍깅 조례가 존재하지만, 민간단체의 자발적 활동에 대한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며“자원봉사라는 특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활동은 반드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캠페인식 단발 행사에 그칠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시민 참여 활동을 위한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박 의원은 “기후위기 대응은 시민이 일상 속에서 함께 실천하고 공감할 때 비로소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과거 새마을운동의 성공 사례를 언급했다.
이어 “자발적인 참여라 하더라도 일정한 지원과 보상이 뒷받침되어야 지속가능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해 시민들의 기후위기 대응 활동이 꾸준히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 기반을 강화해 달라”고 강조했다.
노춘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vanish119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