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대응 예산 1850억원, 정작 시민은 '체감도 미비’

9일 시의회에 따르면 윤 의원은 부천시 출산장려금이 넷째 자녀부터 지급되는 정책에 대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 비판하며 “부천시는 넷째 출산장려금 700만 원을 지급한다. 이는 오히려 출산을 포기하게 만드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현재 각 지자체의 출산장려금은 시군마다 재량으로 기준과 내용이 다르다.
또한 윤 의원은 다자녀 지원 정책에 대해 “부천시가 사업마다 다자녀 기준을 제각기 다르게 적용해 시민들에게 큰 혼란을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다자녀 아이돌봄 서비스가 예산 부족으로 조기 종료된 사실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수요 예측이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행정이 사전에 대비하지 못한 실패”라며, 예산을 무리하게 증액하지 않고도 정책 구조를 재검토할 수 있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이번 시정질문에서 윤 의원은 부천시 출산지원금, 다자녀 아이돌봄 서비스, 산후도우미 지원, 그리고 부천시 벙커페어 사업의 방향성에 대해 질문하며, 부천국제브레이킹대회(BBIC)의 ‘긴급’ 입찰 공고의 불투명성, 유네스코 문학창의도시 홍보관의 활용 부족, 스토리텔링 아카데미의 운영 부실 등 문화정책 전반에 대한 문제도 지적했다.
끝으로 윤단비 의원은 “2023년 이전에 출산장려금이 800만 원 지급 하던 것이 2024년부터 그나마 700만 원으로 줄여 들었다"며 "출산·육아와 문화정책은 시민 생활과 도시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정책”이라며 “부천시가 현실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영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e63@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