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이번 연구는 인공지능(AI)과 디지털트윈(Digital Twin) 기술을 활용해 하수처리 효율을 높이고, 물관리 플랫폼을 개발해 에너지 절감과 전력망 안정화, 기술 표준화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에는 이치에스코리아(HSK)를 비롯해 서울시립대, 경기대, 포스코이앤씨 등 여러 기관이 공동 참여하며, 2025년 4월부터 2028년 12월까지 진행된다. 전국 하·정수처리시설 6곳이 실증지로 지정됐으며, 총 173억 원 규모의 연구비는 전액 연구기관이 부담한다.
용인시는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하수처리 공정 효율을 개선하고, 에너지 절감 및 탄소배출 저감을 실현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운영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연구 목표인 공정에너지 10~15% 절감이 달성될 경우, 용인에코타운 기준 연간 약 6억 원의 전력비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연구기관은 2026년 3분기까지 현장 조사 및 설계를 완료하고, 2027년 상반기 중 설비 구축, 같은 해 하반기부터 데이터 수집과 운영 시뮬레이션 등 본격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이번 연구는 AI와 디지털트윈을 공공시설에 접목해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도시 운영을 구현하는 중요한 시도”라며 “에너지 자립도 향상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실증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지은 이형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uk151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