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디케이랩 ‘베이스 온 보드’ 킥스타터 1억 원 초과 달성…해외 진출 본격화

글로벌이코노믹

디케이랩 ‘베이스 온 보드’ 킥스타터 1억 원 초과 달성…해외 진출 본격화

사진=디케이랩이미지 확대보기
사진=디케이랩
실제 야구 규칙과 확률을 정교하게 구현한 하이브리드 보드게임을 통해 글로벌 보드게임 시장을 향해 도전장을 던진 디케이랩(DK LAB, 대표 고정석)베이스 보드 국내 보드게임 업체로는 드물게 미국 킥스타터(Kickstarter)에서 목표금액의 2200% 넘어선 1억원을 초과 달성 하면서 킥스타터에서 성공적으로 펀딩을 달성했다.

‘31일 디케이랩에 따르면, ‘베이스 보드 실제 야구 규칙과 확률을 정교하게 구현한 하이브리드 보드게임이다. 특수 제작된 12면체 주사위 3, 전략 카드 90, 그리고 모바일 앱이 결합된 게임은 박진감 넘치는 야구의 재미를그대로 보드게임으로 옮겨왔다. 특히 주사위는 야구공 모양으로 설계되었으며, (33%), 스트라이크(17%), 안타(33%) 파울 (17%) 실제 경기와 유사한 확률로 결과가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게임은 주사위를 던지는 것뿐 아니라 전략 카드 사용을 통해 도루, 볼넷, 비디오판독 다양한 야구 상황을 시뮬레이션할 있다.

디케이랩은우리 제품은 단순한 게임이 아니라 데이터와 야구가 결합된 플랫폼이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야구 보드게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 포부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를 총괄한 세토웍스 구준회 이사는자체 개발한 한국보드 게임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은 매우 의미 있는 사례라며디케이랩베이스 보드 성공은 단순한 펀딩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한국에서 제작한 보드 게임이 글로벌 브랜딩에 성공한사례가 것이다. 실제로 이번 킥스타터 펀딩 기간중, 홍콩, 독일 등에서 진행된 게임쇼와 참가해 시너지를 높혔고 여러국가에서 계약 문의를 받기도 했다.
세토웍스 구준회이사크라우드펀딩으로 하나의 국가나 플랫폼에만 의존하는 접근은 한계가 있다" "미국 킥스타터를 시작으로 일본·대만 아시아 시장으로 이어지는 원스톱 펀딩 전략이 발주, 생산, 수익성 확보에 도움이 된다" 설명하고 "크라우드펀딩에서 중요한 것은 테스트 베드를 통한 마케팅 집중 국가를 선택하는 "이며이후, 포스트 펀딩 전략을 통해 현지의 바이어 발굴과 유통 전챡을 수립하는것이라고 조언했다.

세토웍스는 미국 킥스타터(Kickstarter), 일본 마쿠아케(Makuake), 대만 젝젝(Zeczec), 중국 모디안(Modian) 해외 주요 플랫폼과의공식·독점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일본·대만 현지 법인을 직접 투자, 운영하는 글로벌 크라우드펀딩 전문 대행사국내에서 가장 많은 1300여건의 프로젝트와 550억원이 넘는 누적 펀딩금액을 달성했으며 글로벌 플랫폼 진입 지원을 넘어 글로벌 수출 컨설팅, 법인 설립, 회계·인증, 콘텐츠 기획·제작, 마케팅, 고객 지원(CS), 물류·포워딩까지 글로벌 시장 진출과 수출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