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이 아니라 공급이 병목화되고 있다" 진단
청주 M15X·용인 클러스터 가동해 생산물량 확대 추진
엔비디아와 협력해 제조시설 전반 AI팩토리로 변모 추진
청주 M15X·용인 클러스터 가동해 생산물량 확대 추진
엔비디아와 협력해 제조시설 전반 AI팩토리로 변모 추진
이미지 확대보기최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을 통해 SK그룹의 AI 인프라 강화 전략을 공개했다. SK AI 서밋은 반도체·에너지 솔루션·AI 데이터센터 등 모든 영역에 걸친 SK그룹의 AI 경쟁력을 국내외 기업과 학계에 소개하는 행사다. 올해는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의미의 ‘AI Now & Next’를 주제로 열렸다.
그는 “SK는 스스로 데이터센터를 만들고 반도체부터 전력, 에너지 솔루션까지 제공하고 있다”면서 “반도체뿐 아니라 업무 전반과 제조 공정에도 AI 기술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개최된 SK AI 서밋에서 최 회장은 'AI 산업의 보틀넥(병목현상)'이 문제라고 지적했는데 그 현상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제는 성능이 아니라 공급 자체가 병목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너무 많은 기업들로부터 메모리 공급 요청을 받고 있어서 난감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최 회장은 "오픈AI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월 90만 장의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공급해 달라고 요청했다"면서 "이는 하나의 기업이 전 세계 전체 HBM 월 생산량의 2배 분량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SK그룹은 공급을 넘어서는 수요에 대응해 생산량 확대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최 회장은 "청주 M15X 팹(Fab)이 최근 오픈해 내년부터 본격 제품을 생산할 예정"이라면서 "2027년 용인 클러스터가 오픈하는데 청주 팹 24개 규모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보기생산량을 확대하기 위한 또 하나의 방법으로 최 회장은 생산 전반에 AI 기술을 도입해 효율을 끌어올리겠다고 제시했다. 지난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방한해 SK그룹에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 장을 공급하겠다고 했는데 이를 통해 반도체와 기타 제조시설을 AI팩토리로 변모시킨다는 방침이다. 최 회장은 "AI의 문제를 풀 수 있는 건 AI"라며 "궁극적으로 메모리 반도체 생산 공정을 완전 자율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은 파트너사들과의 협력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AI는 혼자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니다"라며 "SK는 파트너와 경쟁하지 않고 빅테크와 정부, 스타트업 등 여러 파트너들과 AI 사업 기회를 만들어 최고 효율의 AI 솔루션을 찾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날 최 회장 기조연설에는 앤디 재시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영상 메시지로 SK와의 협력 성과의 방향을 공개했다. SK그룹은 전시 부스를 통해 최신 HBM 제품인 HBM4와 관련 제품을 선보였고, 전시장을 비롯해 기조연설 장소에는 수많은 인파가 몰려 SK그룹에 대한 업계의 관심을 대변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