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이사회 통해 CEO 후보 결정
김 대표 연임 가능하지만 어려운 상황
무단소액결제 책임에 따른 사퇴 가능성 有
김 대표 연임 가능하지만 어려운 상황
무단소액결제 책임에 따른 사퇴 가능성 有
이미지 확대보기지난 8월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사태로 김영섭 KT 대표의 책임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대표는 지난 10월 열린 국정감사에서 "책임을 지겠다"고 발언한 바 있다. 4일 열리는 KT 이사회에서 김 대표의 퇴임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 이사회에서는 차기 최고경영자(CEO) 선임 건을 비롯해 주요 안건들이 처리될 예정이다. 현 경영자인 김 대표의 임기는 내년 3월까지이기 때문에 선임 3개월 전에 CEO 후보를 결정해야 된다. 선발된 후보는 정기 주주총회 공고 전까지 확정하고 주총을 통해 최종 결정된다.
사내 후보의 경우 회사 또는 계열사 재직 2년 이상과 부사장 이상 직급, 경영 전문성과 KT 사업 이해도 보유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된다. 이를 바탕으로 사외이사로 구성된 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후보를 추린다. 현재 KT 이사회는 총 10명으로 구성됐으며 김 대표이사와 서창석 KT 네트워크부문장을 제외한 8명은 모두 사외이사다. 현 경영진인 김 대표이사도 후보로 나올 수 있으나 해킹 사태에 대한 책임론 때문에 연임이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김 대표는 지난달 국회에서 진행된 과학기술정보통신방송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당시 무단 소액결제에 관한 질의를 받으며 책임론이 언급됐는데 이에 대해 김 대표는 "대표이사가 책임지는 것은 마땅한 일"이라고 했다. 다만 "차기 CEO 응모와 관련해서는 곧 있을 이사회에서 입장을 명확히 밝히겠다"며 여지를 남겨뒀다.
김 대표가 연임하기에는 상황이 좋지 않다. KT는 지난 2023년 주주총회에서 현직 CEO에 대한 연임 우선 심사제도를 폐지했다. 또 사외이사 일부도 김 대표의 연임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일 김 대표가 후보로 선정된다 해도 1대 주주인 국민연금을 포함한 다른 주주들도 동의해야 되는데 무단 소액결제 사태와 은폐 의혹 등으로 설득하기가 쉽지 않다.
지난 8월 KT에서는 무단 소액결제 사건이 발생했다. 불법 초소형기지국(이하 펨토셀)을 통해 무단으로 소액결제가 진행됐고, 그 결과 가입자 368명이 2억4000만 원의 피해를 본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적으로 불법 펨토셀에 접속한 고객은 2만2000명으로 파악됐다. 이들의 전화번호와 가입자식별번호(IMSI), 단말기식별번호(IMEI) 등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또 KT는 해킹 조사를 방해하기 위해 서버를 폐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른 경찰 조사도 진행 중이다.
한편 이번 이사회에서는 무단 소액결제 사태에 따른 전 고객 무상 유심교체 여부도 결정된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