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 1천억 원 사회적 가치 창출…지방정부 첫 정량분석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 1천억 원 사회적 가치 창출…지방정부 첫 정량분석

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그래픽 자료. 사진=경기도이미지 확대보기
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그래픽 자료.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의 사회적 효과를 수치로 환산한 결과, 2024년 한 해 동안 총 1,015억 원의 사회적 가치가 창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지방정부가 환경·경제·사회적 성과를 정량 분석해 금액으로 평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10일 밝혔다.

‘기후행동 기회소득’은 도민이 다회용기나 텀블러 사용, 걷기·자전거 이용, 플로깅(줍깅) 참여 등 일상 속 탄소중립 활동을 실천하면 지역화폐로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경기도 대표 환경정책이다.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은 교통(대중교통·걷기·자전거), 에너지(태양광·절전·고효율 가전), 자원순환(다회용기·플로깅 등) 등 10개 항목의 실적 2,682만 건(2024년 7~12월 기준)을 분석했다. 그 결과 온실가스 감축 8만5천tCO₂eq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절감 91억 원, 환경비용 저감 140억 원, 유류 절감 640억 원, 전력·자원 절감 9억 원, 건강 개선 효과에 따른 의료비 절감 103억 원, 지역화폐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32억 원 등이 산출됐다.
특히 걷기·자전거 이용 증가로 인한 건강 개선 효과는 국민건강보험 통계를 기반으로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 진료비 절감액을 반영했으며, 온실가스 배출 저감은 환경부의 탄소 1톤당 사회적 비용 단가를 적용해 산정했다.

도는 “사업비 87억 원으로 1,015억 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셈”이라며 “기후행동이 환경보호를 넘어 지역경제와 건강 증진 등 다양한 사회적 편익으로 이어졌음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공정식 경기도 사회혁신경제국장은 “정책의 사회적 성과를 정량적으로 증명한 것은 지방정부 차원에서 의미 있는 시도”라며 “앞으로도 도민과 함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행정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올해 3월 고영인 경제부지사를 단장으로 한 ‘사회혁신추진단’을 출범시켜 ‘사회환경 문제해결’, ‘아이가치 플러스’, ‘대학생 천원매점’ 등 사회혁신 정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