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11일 도에 따르면 ‘판교+20 벤처스타트업 클러스터 조성’은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오는 2026년까지 도내 전역에 롯데월드타워의 2배, 축구장 90개 규모에 해당하는 총 20만 평(66만㎡) 창업공간을 조성해 스타트업 3000개를 지원하는 민선 8기 핵심 사업이다.
앞서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해 10월 제2판교 글로벌비즈센터에서 ‘벤처스타트업 비전 선포 및 상생협약식’을 열고 이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도는 2023년부터 창업공간 확보에 본격 나서 △2023년 12만990평(1540개) △2024년 4만9200평(1380개) △2025년 1만6364평(436개) 규모를 조성, 총 3356개 스타트업 입주공간을 마련했다. 내년까지 20만 평(66만㎡)에 3768개 규모 창업공간을 확보할 예정이다.
입주기업에는 무상 사무공간과 함께 대·중견기업 협업, 투자유치설명회(IR), 멘토링 등 맞춤형 성장을 지원한다. 제1판교에는 1만1000평(3만3000㎡) 규모의 창업공간에서 300개 스타트업을 육성 중이다.
이와 함께 도는 8개 권역별 지역거점에 3만 9,000평(12만8706㎡) 규모의 1468개 창업공간(26년 목표 포함)을 마련했다. 하남(동부권), 안양(남서부권), 부천(서부권), 고양(북서부권), 구리(북동부권), 의정부(북부권), 성남(남동부권), 수원(남부권, 조성 중) 등 8곳에 거점형 창업혁신공간이 들어섰으며, 동국대 BMC 창업보육센터(고양), 동탄인큐베이팅센터(화성) 등 18개 지정형 창업혁신공간도 운영 중이다. 도는 내년 추가 지정을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창업공간 조성과 함께 스타트업 생태계 내 네트워킹 강화에도 나섰다. 올해 2월 메가존클라우드를 비롯한 스타트업과 선도기업 등 500개사가 참여하는 ‘경기 스타트업 협의회’를 출범해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2024년부터 매년 ‘경기 스타트업 서밋(G-SUMMIT)’을 개최해 투자 유치 기회를 제공하고, 해외 진출 프로그램 운영, 청년창업체험단 국제 전시·박람회 참가 지원 등을 통해 스타트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



















![[유럽증시] 주요국 증시 일제히 하락세...영국 FTSE 지수 0.05% ...](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4022117121705913edf69f862c5918150239.jpg)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관광주 매도세로 소폭 하락](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4080515474400644e250e8e1881062522498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