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 화성·평택·판교 중심 ‘첨단 자동차 클러스터’ 구축 가속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 화성·평택·판교 중심 ‘첨단 자동차 클러스터’ 구축 가속

미래 모빌리티 산업 경쟁력 강화와 신산업 창출 집중
경기도 첨단 자동차 클러스터 조성 관련 인포그래픽. 자료=경기도이미지 확대보기
경기도 첨단 자동차 클러스터 조성 관련 인포그래픽. 자료=경기도
경기도가 화성과 평택, 성남 판교를 핵심 거점으로 하는 ‘첨단 자동차(모빌리티) 클러스터’ 육성에 본격 속도를 내며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신산업 창출에 집중하고 있다.

13일 도에 따르면, 경기도 첨단 자동차 클러스터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추진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도는 △첨단자동차 밸류체인 구축 △중소벤처기업부 지역특화 프로젝트 △친환경차 진입지원 등 세 분야에서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화성·평택은 미래차 부품 거점, 판교는 차량 소프트웨어 중심지로 육성


도는 먼저 화성·평택을 미래차 부품 산업 거점으로, 성남 판교를 소프트웨어 거점으로 삼아 ‘첨단자동차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발간한 ‘경기도 자동차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정책방안 연구’(2023년 12월)에 따르면, 경기도 내 자동차 사업체 집적 지역은 △화성 327개 △시흥 116개 △안산 112개 △평택 104개 등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도는 현대차그룹 남양연구소와 기아차 오토랜드가 위치한 화성, KG모빌리티가 있는 평택을 미래차 부품 산업 핵심 거점으로 설정했다.

판교에는 미래차 분야 소프트웨어 생태계 조성을 위해 스마트모빌리티실증허브(SMDH)가 조성되고 있다. 해당 시설은 지하 4층~지상 7층 규모(연면적 6,348㎡)로, 내년 5월 준공 예정이다.

준공 후에는 △스마트모빌리티 스타트업 입주 △자율주행차 테스트베드 구축 △전문 인력 양성 등 기능을 수행하며, 판교 내 연구기관·스타트업·기업 간 협업 체계가 강화될 전망이다.

미래차 전환 지원하는 ‘지역특화 프로젝트’… 31개사에 총 94억 3천만 원 지원


도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경기도형 미래차 혁신생태계 조성’ 지역특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내연기관 중심의 중소 자동차 기업을 전기·수소 기반의 미래차 기업으로 체질 전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는 지난해 28개 기업을 선정해 △혁신바우처 △정책자금 △스마트공장 솔루션 제공 등 5개 정책 사업을 지원했다.

또 올해 12월 추가로 3개 기업을 선정해 현재까지 총 31개사에 94억 3천만 원을 투입, 미래차 제조기업으로의 전환을 돕고 있다.

친환경차 부품 개발·시장 진입 지원… 20개사 사업화·417명 교육 참여


경기도는 도내 내연기관 부품기업이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차 부품개발 및 시장 진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친환경차 진입 지원사업’도 운영하고 있다.

2023년 계획 수립 후 올해부터 △20개 기업의 사업화 과제 △417명의 부품개발 인력 양성 교육이 진행 중이다.

또한 최근 미국의 대미 관세 부과 상황을 고려해 친환경차 부품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해외규격 인증·신뢰성 평가 비용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UAM·수소·자율주행까지… 미래 모빌리티 전 분야 아우르는 광역 전략


경기도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친환경차 보급 및 충전 인프라 확대 △자율주행 실증단지 및 ‘판타G 버스’ 운영 △국토부 UAM 실증 버티포트(고양 킨텍스) 구축 △평택 수소 생산·교통 복합기지 준공 △안산·남양주·평택·양주 수소도시 및 용인 미니수소도시 조성 등도 추진하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해 6월 열린 ‘경기 미래모빌리티 페스타’에서 “대한민국 모빌리티 R&D 투자의 71%, 연구 인력의 62%가 경기도에 집중돼 있다”며 “모빌리티 중심 경기도가 대한민국 미래 발전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는 이 같은 정책을 통해 완성차·부품·IT·배터리·UAM까지 아우르는 ‘대한민국 최대 미래 모빌리티 메가클러스터’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