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CNBC 등 외신들에 따르면 CDC는 이날 코로나19 전염 방식에 대한 업데이트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감염자의 콧물이나 침 등 비말이 여전히 코로나19의 주된 전염 방식이지만 환기가 잘 이뤄지지 않는 폐쇄된 환경에서는 공기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고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CDC는 "코로나19 감염자가 6피트(약 1.8m) 이상 떨어져 있던 다른 사람, 또는 이 환자가 어떤 지역을 떠난 직후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는 제한적이고 이례적인 상황을 입증하는 일부 보고서가 발행된 적이 있음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CDC는 이어 "이런 경우 감염은 노래나 운동 등 더 강한 호흡을 유발하는 활동과 연관돼 있으면서 환기가 잘 안 되고 폐쇄된 공간에서 발생했다"고 덧붙였다.
CDC는 지난달 코로나19가 공기를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다고 홈페이지에 올렸다가 사흘 만에 "실수였다"며 이를 삭제해 논란을 일으켰다.
당시 CDC는 권고문에서 "(기침·재채기를 통한) 비말이나 공기 중 입자가 공기 중에 떠돌다가 다른 사람이 이를 들이마시거나 (사회적 거리 두기의 권고치인) 6피트 이상까지 퍼진다는 증거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CDC는 권고문 발표 사흘 뒤 "확정되지 않은 권고문 초안이 실수로 홈페이지에 게시됐다"며 권고를 업데이트하는 중이며 이 절차가 끝나면 업데이트된 문구를 게시하겠다고 설명했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