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코인베이스 CFO"기관투자자 암호화폐 투자 더 늘어날 것"

글로벌이코노믹

코인베이스 CFO"기관투자자 암호화폐 투자 더 늘어날 것"

코인베이스 알레시아 하스 CFO. 사진=CNBC이미지 확대보기
코인베이스 알레시아 하스 CFO. 사진=CNBC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가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지만 미국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의 주가는 하락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코인베이스의 월간 거래는 740만 명으로 전년 동기의 610만 명보다는 증가했지만 지난 2분기의 880만 명에 비하면 크게 줄어들었다. 코인 거래량은 전 분기의 4620억 달러에서 3270억 달러로 감소, 분기별 매출 실적에서 월스트리트의 기대를 밑돌았다. 물론 이것은 일시적인 것이며, 암호화폐가 급등한 4분기에는 코인베이스가 사상 최대 실적을 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올해 초 CNBC가 CFO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절반 이상이 암호화폐가 금융 상품으로 더 많이 수용될 것으로 보았다.

코인베이스 최고재무책임자(CFO) 알레시아 하스(Alesia Haas)는 CNBC를 통해 애널리스트들에게 암호화폐 시장 전망과 코인베이스 전략을 제시했다.
하스는 암호화폐 거래 수수료는 코인베이스의 비즈니스 모델이 아니며 자산 상품 거래 및 관리라고 강조했다. 하스는 단지 한 분기의 거래량이나 수수료 수익이 아니라, 코인 선물 또는 비자 직불 코인베이스 카드 등 상품 거래, 디파이(DeFi) 즉 분산형 금융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회사의 더 큰 사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수수료 수입 비중은 더욱 위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스는 투자자들이 단지 암호화폐를 거래하기 위해 플랫폼에 오는 것은 아니라고 단언했다. 암호화폐를 이용한 수입은 물론, 대출 및 파생상품에도 깊이 관여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코인베이스도 이에 맞추어 비즈니스 모델을 다양화하고 수익원을 늘려 분기별 수익 변동성을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코인베이스는 새로운 사업으로 계획한 대출 업무에 대해 감독당국의 반대에 직면해 있다.

하스는 암호화폐 기관투자자들의 동향도 달라졌다고 지적하고 있다. 비트코인에서 시작해 일반적으로 이더리움으로 이동하지만 다른 암호화폐 자산(알트코인)으로 이동하는 모습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디파이 확대 적용을 원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의 대안으로 암호화폐 부문에 더 폭넓게 투자하고 있다고 하스는 말한다.

하스는 특히 암호화폐 ETF(상장지수펀드)가 새로운 사용자와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최근 비트코인 선물 ETF를 승인했고, 코인베이스는 SEC가 더 많은 비트코인 ETF를 승인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하스는 이것이 암호화폐 생태계 확산과 거래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러나 ETF가 현물 암호화폐 거래와는 전혀 다른 성격의 시장임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인베이스가 ETF 시장의 적절한 관리인이 될 것이며 ETF 시장의 확산을 선도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코인베이스는 현재 현물 암호화폐 시장만 다루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선물거래 사업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며 이에 대해 규제 당국에 신청도 했다고 하스는 덧붙였다.


조민성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scho@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