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포트 헤들랜드는 1월에 11개국에 4799만 톤의 철광석을 선적했는데, 12월에는 9개국에 5084만 톤, 2021년 1월에는 6개국에 4223만 톤의 철광석을 선적했다. 지난달에는 인도, 벨기에, 영국, 베네수엘라로 선적돼 1월 중 가장 많은 선적량을 기록했다. 이들 국가는 지난 5개월 동안 포트 헤들랜드에서 철광석을 채취한 말레이시아의 항만개발 고객으로 등록했다.
중국은 포트 헤들랜드의 철광석 최대 소비국이며, 다음으로 큰 소비국인 한국과 일본의 10배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대만은 오랜 거래처였지만 인도네시아가 약 650만 톤으로 4번째로 큰 소비국으로 등장하고 있다. 베트남은 지난 1년간 2020년 4만3000톤에 비해 2021년 470만 톤을 가져가는 등 훨씬 큰 구매자가 됐다.
이러한 다양화는 부분적으로 중국 이외의 철강업체들과 새로운 관계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호주 생산업체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필바라(Pilbara)에서 생산되는 낮은 등급의 철광석이 더 많은 할인을 해줌으로써 새로운 경쟁력이 발생하고 있다.
BHP, 포테스큐, 로이힐, 아틀라스 제철, 광물자원 모두 포트 헤들랜드를 통해 철광석을 수출한다.
김진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