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러시아에 화웨이식 제재…한국기업 러시아 수출 타격 불가피

글로벌이코노믹

美, 러시아에 화웨이식 제재…한국기업 러시아 수출 타격 불가피

반도체·자동차·전자 제품 수출 차질 가능성
미국 정부가 러시아에 대한 수출 통제를 하면서 화웨이식 제재 방식을 동원함에따라 이 조처가 한국 기업에도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정부가 러시아에 대한 수출 통제를 하면서 화웨이식 제재 방식을 동원함에따라 이 조처가 한국 기업에도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사진=로이터
미국 상무부가 24일(현지시간) 러시아에 대한 수출 통제 제재를 발표하면서 ‘화웨이식’ 제재와 같은 규정을 적용했다. 미국은 이날 러시아의 국방, 항공우주, 해양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반도체, 컴퓨터, 통신, 정보보안 장비, 레이저, 센서 등수출 통제 대상에 올렸다. 이때 지난 2019년 중국의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를 제재하려고 도널드 트럼프 전임 정부가 사용했던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을 미 상무부가 다시 꺼내 들었다.

FDPR 미국 밖에서 외국 기업이 만든 제품이라 해도 제조 과정에서 미국이 통제 대상으로 정한 장비나 소프트웨어, 설계를 사용하면 해당 국가에 수출을 할 수 없도록 한 규제 장치이다. 미 상무부는 2019년 5월 16일 화웨이와 68개 계열사 등을 미 정부 허가 없이는 미국 기업과 거래할 수 없도록 ’거래제한기업 리스트(Entity List)에 올렸다. 이때 적용한 규정이 FDPR이다.

미국은 화웨이가 대만 TSMC 등 해외 반도체 기업으로부터 반도체 칩 납품을 받지 못하도록 이 규정을 활용했다. 통제 대상 기업에 물품을 납품하려면 미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실제 해외직접생산품규칙에 따른 제재가 본격화하면서 화웨이는 매출이 30% 급감하는 치명타를 입었다.

미 상무부는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동맹국 및 파트너 국가들과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도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러시아의 행동은 우크라이나 주민에게 즉각적인 위험을 초래할 뿐 아니라 전 세계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러몬도 장관은 “우리가 동맹국 및 파트너 국가들과 협력해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고, 미국이 결코 러시아의 침략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러몬도 장관은국제적으로 우리 동맹국 및 파트너 국가들과 함께 러시아의 군사 역량을 지원하는 상품과 소프트웨어, 기술을 제약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 조처가 시행되면 한국이 러시아에 수출해온 반도체, 자동차, 전자제품 등이 적용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미 상무부가 최종적인 용도가 군사용이라고 규정한 품목을 생산하는 러시아 기관 49곳블랙리스트(거래제한기업 리스트)에 올렸다. 한국 기업은 사전에 미국 정부의 허가를 받지 않으면 이들 기관과 거래를 할 수 없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