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시가전 양상 사망자 증가 불가피…주요 도시 쉽게 함락되지 않을 듯

공유
0

시가전 양상 사망자 증가 불가피…주요 도시 쉽게 함락되지 않을 듯

러-우크라전 시나리오: 러시아 어떻게 패배하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이 계속되는 가운데 부쿠레슈티에서 한 남성이 반전 광고판 앞을 지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이 계속되는 가운데 부쿠레슈티에서 한 남성이 반전 광고판 앞을 지나고 있다. 사진=로이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3주째로 접어들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조기 점령에 실패하자 우크라이나 민간 시설이나 주민에 대한 공격을 서슴지 않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과거 시리아와 체첸에서 민간인 피해를 상대방을 굴복시키는 지렛대로 이용하려는 태도를 보였다고 뉴욕 타임스가 지적했다. 푸틴 대통령은 앞으로 우크라이나에서 수도 키이우(키예프)를 포함한 주요 도시 점령을 위해 민간인을 겨냥해 무차별 공격을 가할 수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앞으로 시가전 양상을 띨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양측의 사망자가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다. 또한 러시아가 병력과 화력을 증강해도 우크라이나의 주요 도시가 쉽게 함락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미국 정보 당국의 분석이다.
윌리엄 번스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지난주 의회 증언에서 “앞으로 최소한 몇 주일 동안 시가전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콧 베리어 국방정보국(DIA) 국장도 “러시아군이 수도 키이우를 동서남북 방향에서 공격할 것이나 보급로 차단 등으로 인해 수도 점령에 10일~2주가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는 대규모 무력 동원에도 불구 조기에 우크라이나를 굴복시키는 데 실패했다. 그렇지만, 군사적으로 우크라이나에서 교두보를 확보했고, 주요 도시 함락 목표에 조금씩 근접해가고 있는 게 사실이다.

러시아가 지난 2014년 점령한 크름반도(크림반도)와 우크라이나 동부의 천러 세력이 있는 돈바스 지역 등을 연결하고, 흑해의 오데사 등 주요 항구를 점령할 수 있다고 뉴욕 타임스가 보도했다. 우크라이나는 해양으로 나갈 수 있는 관문을 모두 러시아에 곧 뺏길 수 있다.

러시아가 이렇게 우크라이나의 동남부 지역을 점령하고, 나라를 두 동강 내는 데 성공해도 우크라이나 북서부 지역을 장악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미국 정보 당국의 분석이다.

이런 시나리오가 전개되면 러시아가 갈수록 수세에 몰릴 수 있다. 이번 전쟁이 장기화할수록 러시아는 불리해진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 교착 상태에 빠지면 지난 22년 동안 러시아를 실질적으로 통치한 푸틴 대통령의 입지가 흔들릴 수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가 분석했다. 미국과 서방 국가는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의 고삐를 갈수록 바짝 죌 계획이다. 그 여파로 러시아의 국가 부도 사태, 외교적 고립, 러시아 주민 생활 피폐 등으로 인해 러시아 군부 또는 파워 엘리트가 푸틴을 축출하는 쿠데타를 일으킬 수도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분석했다.

러시아가 최근 나토 회원국인 폴란드에 근접한 지역을 폭격했다. 러시아가 발사한 포탄이 실수든, 고의든 나토 지역에 떨어지거나 러시아가 나토 전투기 등을 격추하는 사건이 발생하면 나토와 러시아 간 전쟁으로 확전될 것이라고 뉴욕 타임스가 전망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서부로 진격해 나갈수록 나토와 충돌할 가능성이 커진다.
푸틴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는 패배하지 않을 수 있으나 그 승리에 대한 대가를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 푸틴이 나토의 약화를 노리고,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수 있으나 나토는 앞으로 러시아를 겨냥해 군사력을 더욱 증강할 게 확실하다. 러시아는 또한 국제 경제 체제에서 쫓겨나게 된다. 러시아의 생명줄인 원유와 천연가스 수출이 차단되고, 러시아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중단되며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 기술의 러시아 수출이 차단된다. 미 외교 전문지 포린 어페어즈는 “우크라이나도 망하고, 러시아도 동시에 망하는 사태가 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푸틴이 패전의 부담을 우려해 중도에 포기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푸틴이 러시아에서 철권 통치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나 러시아 군부와 파워 엘리트 및 러시아 국민의 태도가 마지막 변수로 남아 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