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요미우리(讀賣)은 28일(현지시간) 일본정부가 유럽 등에서 도입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어 일본도 이같은 디지털 인재가 머무르기 쉬운 환경을 조성해 일본방문객 소비확대로 연결하려는 목적으로 디지털노마드족 전용비자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디지털노마드족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웹사이트의 디자인 등 IT단말만 있으면 장소를 불문하고 일할 수 있는 업무를 맡는다. 노마드는 유목민이라는 뜻으로 프리랜스와 해외기업에 소솟된 사람들이 전세계를 여행하면서 일하는 형태가 다수다. 해외조사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약 3500만명, 관련지출은 연간 7870억 달러를 넘을 것이라는 추산도 있다.
일본정부는 조만간 내놓을 방일 해외방문객 회복을 위한 행동계획에 디지털노마드에 대해 ‘비자∙체류자격 등 제도면도 포함한 과제에 대해 파악및 검토를 벌여 필요한 대응을 할 것을 포함시킬 방침이다.
일본에는 미국 등 전세게 69개국및 지역으로부터 비자없이 입국할 수 있지만 체류할 수 있는 기간은 90일간이다. 반면 디지털노마드족은 한 곳에 3~6개월 체류하는 사람이 전체의 66%를 차지한다는게 해외조사결과다. 일본정부는 이들을 위해 90일 이상의 체류할 수 있는 전용비자를 검토키로 했다.
외국인이 90일 이상 일본에서 일하고 싶을 경우 취업비자를 취득한다면 장기 체류는 가능하다. 다만 일본에 거점을 둔 법인 등으로부터 소득을 버는 것이 조건이며 해외기업으로부터 보수를 받는 디지털노마다는 이 제도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해외에서는 유럽과 중남미 등에서 전용비자를 도입하는 등 노마드족 유치를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으며 반년부터 2년정도 체류를 인정하는 사례도 많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