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미국, 1조달러 채권 발행하지만 시장충격 관리도 필수

공유
1

[초점] 미국, 1조달러 채권 발행하지만 시장충격 관리도 필수

채권 공급량 일시적으로 많아지면 시장에 동요 발생

미국 재무부가 부채 상한선 협상이 마무리됨에 따라 1조2000억 달러의 채권을 발행한다. 시장이 과잉 유동성을 어떻게 해소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재무부가 부채 상한선 협상이 마무리됨에 따라 1조2000억 달러의 채권을 발행한다. 시장이 과잉 유동성을 어떻게 해소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의회는 지난 1일 부채한도를 1조2000억 달러로 인상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조 바이든 대통령이 3일 '국가 재정 책임법'에 서명해 이를 발효시켰다. 이에 미 재무부는 2023년 12월 31일까지 1조2000억 달러 채권을 발행할 수 있게 되었다. 재무부는 상한선 협상 결과로 신속히 재무를 보충하고 있다.

통상 미 재무부가 발행한 채권은 미국 국채이다. 미국 국채는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미국의 신용등급이 매우 높아 투자자들에 매우 안전한 투자 수단으로 인정받는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부채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것은 다행이지만, 앞으로의 상황을 잘 관리하지 못하면 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월가에서는 미 재무부와 연준이 채권 발행과 금리 조정에서 잘 해낼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부채 상한선 협상이 통과되기 전까지 보류되었던 약 8500억 달러의 채권 발행을 현재부터 대략 9월 말까지 완료해야 한다는 사실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다.

일시에 많은 양의 채권을 발행하면 구매자보다 공급량이 많아져 시장에서 동요가 발생할 수 있고, 단기 차입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현재 금리가 2년 전의 0.1%에서 거의 6%로 치솟은 상황에서 채권 발행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 채권의 주요 구매자였던 중국이 채권을 계속 매도하고 있고, 일본이나 다른 우방국들도 자국의 문제로 인해 미국 채권 구매가 예전처럼 쉽지 않기 때문이다.

수조 달러 규모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금융 시스템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면 시장 전체에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몇 달 동안 시장은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S&P500 지수는 탄력적인 고용 시장, 인공지능(AI) 주도의 기술주 상승, 연준의 금리 인상이 마지막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신호 등에 힘입어 올해 12% 상승했다.

연준이 높은 금리를 오래 유지할 것이라는 예상에도 단기 채권 수익률이 최근 몇 주 동안 급등했지만 시장은 미래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재무부는 6월부터 채권 발행을 가속화해 자금을 확보하려고 한다. 예상보다 저조한 세수와 정부 지출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부채 상한선 협의 과정에서 사용된 ‘특별 조치’가 만료되면서 연준에 보유된 당좌 예금이 5월 말 현재 500억 달러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재무부 관리들은 세수와 지출, 부채 관리 등을 위해 일반 계정을 6000억 달러 수준으로 유지하려고 한다.

재무부가 조기에 채권을 발행해 자금을 확보하려는 것과 은행들이 채권 입찰에 참여해야 하는 것은 상충하는 요소이다. 규제 당국은 은행 위기를 방지하기 위해 은행들에 현금 보유를 늘리도록 압박하고 있다. 연준은 금리 인상을 통해 시장에서 유동성을 더욱 줄이려고 한다. 이는 재무부와 은행, 연준 간의 입장 차이를 자극하는 요소들이다.

전략가들은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머니마켓펀드(MMF)가 이번 채권 발행의 주요 구매자가 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MMF는 투자자들의 일시적 여유자금을 조달해 채권, CP, CD, 콜론, 예금 등에 투자하도록 설계된 금융상품으로, 안정적인 수익과 높은 환금성, 낮은 투자 위험을 제공한다. 2023년 6월 초에 미국 MMF 자금 규모는 4조8700억 달러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MMF가 채권을 구매하려면 다른 자산에 비해 높은 수익률을 제공해야 한다. 재무부가 제공할 수 있는 금리의 상한선이 관건이다.

또한, 재무부가 부채로 조달한 자금을 이자, 정책 사업, 보조금 등 다양한 목적으로 시장에 공급하면 유동성이 늘어나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추가 금리 인상 압력이 높아질 수도 있다.

1조2000억 달러의 증가된 유동성이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를 해소하고 재정 건전성을 개선할 수 있을지는 아직 알 수 없는 복합적인 문제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