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실리콘밸리' 전국화 프로젝트 가동...31개 '지역 테크 허브' 선정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실리콘밸리' 전국화 프로젝트 가동...31개 '지역 테크 허브' 선정

반도체법에 따라 허브 한 곳당 최대 6750억원 지원…첨단 제조업 기지 구축 작업 나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백악관 옆 올드이그제큐티브 빌딩에서 '지역 테크 허브'를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백악관 옆 올드이그제큐티브 빌딩에서 '지역 테크 허브'를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미국 정부가 23일(현지 시간) 반도체 지원 및 과학 법(칩스법)에 따라 미국 내 31개의 ‘지역 테크 허브’를 선정해 발표했다. 미 상무부는 그동안 370곳의 신청서를 접수해 이 중 모두 32개 주와 미국령 푸에르토리코에 걸쳐 들어설 허브를 결정했다. 지역 테크 허브로 선정된 곳에는 연방정부가 최대 5억 달러(약 6750억원)의 지원금을 제공한다. 미 정부는 칩스법에 따라 모두 100억 달러의 지원금을 배정해 놓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옆 올드이그제큐티브 빌딩에서 열린 행사에서 “우리가 생명공학, 핵심 광물, 퀀텀 컴퓨팅, 첨단 제조업 분야에 투자해 미국이 다시 한번 이들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가 이제 곧 이륙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지역 테크 허브를 만들어 오스틴, 보스턴, 실리콘밸리,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 일부 지역에 집중된 첨단 산업 시설을 전국으로 확산시키려 한다고 AP통신이 전했다. 이 프로젝트의 공식 명칭은 ‘지역 기술과 혁신 허브 프로그램’이다. 이들 허브는 자율 시스템, 양자 컴퓨팅, 정밀 의학, 청정에너지, 반도체 제조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나 러몬도 상무부 장관은 이날 "바이든 대통령의 '미국 투자' 구상은 미국이 혁신과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도록 하는 정책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기에 테크 허브 프로그램핵심이고, 최첨단 기술 투자를 확대해 미국역에 걸쳐 혁신을 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무부는 이와 별개로 29개 지역에 전략개발 보조금도 지급했다.
바이든 정부는 이에 앞서 지난 13일 탄소배출 절감을 위해 7곳의 수소 허브에 모두 70억 달러(약 9조4000억원)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백악관은 미국 내 저비용 청정수소 시장 확대를 가속하기 위해 에너지법에 따라 이런 지원을 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7곳의 수소 허브 중에서 펜실베이니아 허브에는 최대 7억5000 달러가 지원된다. 정유업체인 BFP에너지, 에어리퀴드 등이 파트너사로 참여하는 이 허브는 기존 석유 인프라에서 재생에너지와 핵에너지를 수소로 생산한다.

아마존 등이 파트너로 참여하는 캘리포니아 기반 허브는 재생에너지와 바이오매스로 수소를 생산하며 대중교통, 대형트럭 운송, 항만 운영에서 탈탄소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에는 12억 달러가 지원된다. 또 웨스트버지니아, 휴스턴, 미네소타 등의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수소 허브 프로젝트도 지원 대상에 선정됐다. 이들 수소 허브는 모두 연간 300만t 이상의 청정수소를 생산하게 된다. 이는 2030년 기준 청정수소 생산 목표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백악관이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2050년까지 미국의 탄소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고 공약했었다. 미국은 이를 위해 인프라 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을 통해 친환경 투자를 늘리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8월 미국의 반도체 업체에 대규모로 정부가 지원금을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한 '반도체 산업육성법'을 발효시켰다. 칩스법은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거나 연구·개발하는 업체에 모두 2800억 달러(약 366조원)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초당적으로 미 의회를 통과한 이 법에 따르면 약 390억 달러가 미국 내에서 반도체 생산 시설을 신설, 확장, 현대화하는 기업에 제공된다. 나머지 110억 달러는 반도체 연구·개발 지원비로 사용된다. 방위산업 관련 반도체 업체에는 20억 달러가 지원된다. 다만, 이 지원금은 자사주 매입 또는 외국 투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국제적으로 안전한 통신망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지원금으로는 5억 달러, 반도체 산업 기술 인력 교육에 2억 달러, 무선 통신망 혁신 프로그램에 15억 달러가 각각 지원된다.

반도체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도 이 법안에 명문화돼 있다. 반도체 생산을 위한 투자에 대해서는 세액에서 25%를 빼주기로 했고, 그 수혜 규모가 향후 몇 년에 걸쳐 2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