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랄코, 35억 달러 투입… 2026년 가동 목표, 240만 가구에 전력 공급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 50% 확대"… '탄소 중립' 가속화
필리핀이 세계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건설에 착수하며 재생에너지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 50% 확대"… '탄소 중립' 가속화
필리핀 최대 전력 유통업체 메랄코(Meralco)는 수도 마닐라 북쪽에 3500 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와 4500MWh 용량의 에너지 저장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6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총 35억 달러(약 4조8000억 원)가 투입되는 이 프로젝트는 2026년 1단계 가동을 시작으로 2027년부터 본격적인 전력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메랄코의 자회사 테라 솔라 필리핀(Terra Solar Philippines)이 주도하는 이 프로젝트는 불라칸(Bulacan)과 누에바 에시하(Nueva Ecija) 주에 걸쳐 3500 헥타르(ha) 부지에 건설된다.
필리핀 정부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에너지 믹스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을 2040년까지 50%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현재 필리핀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30% 미만이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은 지난 11월 말 기공식에 참석하여 "이 프로젝트는 필리핀이 재생에너지 분야의 선두 주자가 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필리핀의 이러한 움직임은 기후 변화 대응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한 노력으로 풀이된다. 태양광 발전은 탄소 배출량 감축과 에너지 자립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이다.
필리핀은 섬나라 특성상 전력망 구축이 어렵고,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아 에너지 안보가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번 태양광 발전소 건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가들은 필리핀의 세계 최대 태양광 발전소 건설이 한국 재생에너지 산업에도 시사점을 준다고 지적한다.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한국에너지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필리핀보다 기술력이 앞선 한국이 오히려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뒤처지고 있다"면서 "과감한 투자로 시장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