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지난 주말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회담에서 양국이 관세를 포함한 대다수 무역 보복 조치를 철회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이번 조치는 사이버캡과 세미 트럭의 시험 생산을 오는 10월에 시작하고 내년부터 본격 양산에 들어가겠다는 테슬라의 기존 계획을 다시 추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앞서 로이터는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최대 145%까지 인상하자 테슬라가 중국산 부품 수입을 잠정 중단한 상태였다고 전한 바 있다.
사이버캡은 미국 텍사스주에서 세미 트럭은 네바다주에서 각각 생산될 예정이며 사이버캡은 운전대와 페달이 없는 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 형태로 설계됐다.
테슬라는 지난해 10월 이 차량을 처음 공개하며 2026년부터 3만 달러(약 4070만원) 미만 가격으로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또 각 주 정부로부터 로보택시 서비스 운영 승인을 받기 위한 절차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미 트럭은 2026년부터 생산량을 확대하고 펩시코 등 주요 고객사에 대한 누적 주문 물량을 순차적으로 인도할 계획이다.
한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1분기 실적 발표 당시 애널리스트들에게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 인하를 직접 요청했지만 결정은 대통령에게 달려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같은 날 테슬라의 최고재무책임자(CFO) 바이브하브 타네자도 “관세 때문에 중국에서 가져와야 하는 장비 반입에 차질이 생기면서 미국 내 생산라인 확장에 필요한 자본투자에 제약이 생기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