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무역 협상 불발 땐 최대 145% 관세 경고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무역 협상 불발 땐 최대 145% 관세 경고

베선트 "4월 2일 수준으로 돌아갈 것" 주장
트럼프 정부, 90일 유예 뒤 강경책 시사...월마트 등 소비자 가격 인상 압박
관세 협상에 성실히 임하지 않으면 145% 관세를 매기겠다고 경고하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관세 협상에 성실히 임하지 않으면 145% 관세를 매기겠다고 경고하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사진=로이터
미국이 무역 협상에서 상대 나라가 성의 있게 협상하지 않으면 지난 4월 2일 발표한 최대 145% 관세를 다시 매기겠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방침은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최근 방송 인터뷰에서 직접 밝힌 내용이라고 19일(현지 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42'해방' 선언 관세 복귀 경고...18개 나라에 개별 통보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최근 방송에서 "각 나라가 성의 있게 협상하지 않으면 42일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을 불공정 무역에서 '해방'하겠다고 밝히면서 내놓은 관세 수준으로 다시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어떤 나라는 10%였고, 어떤 나라는 훨씬 높았다. 협상에 나서지 않으면 최고 관세율이 다시 적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2일 미국이 거의 모든 수입품에 10% 기본 관세를 매기고, 중국 등 일부 나라에는 최대 145%까지 '상응' 관세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후 90일 동안 대부분 나라에는 10%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베선트 장관은 "18개 주요 교역 상대국이 미국과 협상 대상"이라면서 "앞으로 2~3주 안에 각 나라에 관세율을 따로 알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국·중국 관세 한시 인하...월마트 등 소비자 가격 인상 압박

미국과 중국은 최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협상에서 최소 90일 동안 서로 매기는 관세를 낮추기로 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중국에 매기던 145% 관세는 30%로,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매기던 125% 관세는 10%로 내려갔다. 다만 이 조치는 90일 동안만 이어지며, 협상이 결렬되면 관세가 다시 오를 수 있다.

베선트 장관은 관세가 기업과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월마트 같은 대형 유통업체가 일부 부담을 떠안겠지만 가격 인상은 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실제로 월마트는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를 모두 감당하기 어렵다"면서 "이르면 이달부터 소비자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월마트가 관세를 떠안아야 한다"고 공개 압박했다.

유통업계에서는 "월마트가 가격 인상을 공식화한 것은 미국 안 소비자 물가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평가가 나온다. 월마트 최고경영자 더그 맥밀런은 "전체 상품의 3분의 2는 미국산이지만, 일부 품목은 외국에서 들여와 관세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관세 협상 난항...멕시코·캐나다 등 일부 나라는 예외


트럼프 정부는 올해 초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체결국에는 상호 관세를 피하는 한편, 협정 조건을 지키지 않는 상품에는 25% 관세를 유지하고 있다. 동남아에서는 캄보디아(49%)·라오스(48%)·베트남(46%) 등에도 높은 관세가 매겨졌다.

영국은 이달 초 미국과 자동차·철강 관세 인하에 합의했으나 대부분 상품에는 여전히 10% 고정 관세가 남아있다.

미국 신용등급 하락 논란...베선트 "무디스 평가는 바이든 전 정부 실정 때문" 주장


최근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에서 한 단계 내린 것과 관련해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신용평가사가 등급을 내릴 때는 이미 시장에 모든 것이 반영돼 있다"면서 "무디스의 결정은 뒤늦게 따라가는 평가일 뿐"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또 "이번 신용등급 하락은 지난 4년 동안 바이든 정부가 재정지출을 크게 늘린 데 따른 결과"라고 주장했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미국의 나랏빚은 362200억 달러(5726조원)에 이른다.

금융권에서는 "관세 인상과 신용등급 하락이 겹치면서 미국 안 소비자와 기업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이번 트럼프 정부의 무역 정책은 '관세 압박'으로 협상력을 키우는 데 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주요 교역 상대국과의 협상이 잘 풀리지 않고, 소비자 가격 인상과 신용등급 하락 등 여러 파장이 이어지고 있어 앞으로 90일 동안 협상 결과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