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캐나다 루카마이닝, 멕시코서 '꿈의 광산' 발견...금 5.35g/t 세계 최고급

글로벌이코노믹

캐나다 루카마이닝, 멕시코서 '꿈의 광산' 발견...금 5.35g/t 세계 최고급

15m 두께 광맥서 세계 상위 5% 고품위 다금속 광상 확인, 금·은·아연 등 5개 금속 동시에 매장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금광 개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캐나다 광산업체인 루카 마이닝이 멕시코에서 세계 최고 수준 고품위 다금속 광물을 발견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이미지 확대보기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금광 개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캐나다 광산업체인 루카 마이닝이 멕시코에서 세계 최고 수준 고품위 다금속 광물을 발견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금광 개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캐나다 광산업체가 멕시코에서 세계 최고 수준 고품위 다금속 광물을 발견했다.

캐나다 루카마이닝(Luca Mining Corp)은 지난 7일 멕시코 게레로주 캄포 모라도 다금속 화산성 대규모 황화광상(VMS) 광산에서 진행 중인 탐사에서 금 5.35g/t, 아연 8.39%를 포함한 고품위 광물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7일 리소스 월드 메거진 보도에 따르면, 회사는 레포르마 광상 지표 시추공 CM-RF-25-001에서 15.1m 구간에 걸쳐 금 5.35g/t, 은 187.50g/t, 구리 0.31%, 아연 8.39%, 납 2.75%가 들어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금 등가품위 11.9g/t에 맞먹는 수치다.

◇ 세계 최고 수준 품위로 상업성 입증

이번 발견의 핵심은 금 5.35g/t라는 품위다. 일반 금 광산 경제성 기준인 1-2g/t를 2-5배 웃도는 수준으로, 세계 상위 5% 수준 고품위 광산에 해당한다. 특히 아연 8.39%와 은 187.50g/t가 함께 들어있어 다금속 복합 효과로 수익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평가된다.

지하 시추에서도 유망한 결과가 나왔다. 지하 시추공 CMUG-25-015에서는 4.5m 구간에서 금 0.36g/t, 은 161g/t, 구리 7.16%, 아연 1.82%, 납 0.12%를 확인했다. 또 다른 11m 구간에서는 금 0.32g/t, 은 99g/t, 구리 4.20%, 아연 1.63%, 납 0.19%의 광물을 발견했다.

루카마이닝은 현재 5000m 규모 지하 다이아몬드 시추와 2500m 규모 지표 시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지금까지 22개 지하 시추공을 완료했으며, 총 길이는 4476m에 이른다. 레포르마 광상에서는 5개 추가 시추공을 완료해 총 1350m 이상을 시추했다.

◇ 11년 만의 본격 탐사로 자원량 대폭 확장 전망


이번 탐사는 2014년 이후 11년 만에 진행하는 캄포 모라도 광산 첫 본격 탐사 프로그램이다. 캄포 모라도 광산은 121㎢ 규모 대형 광권으로 금, 은, 구리, 아연, 납 등 다금속이 들어있는 VMS형 광상이다.

폴 D. 그레이 루카마이닝 탐사 부사장은 "레포르마 광상 첫 시추공에서 두꺼운 고품위 금이 풍부한 거대 황화광물을 발견한 것은 루카의 탐사 노력이 캄포 모라도에서 미개발 금속 광상을 발굴하는 광산 능력에 얼마나 빠르게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레이 부사장은 "금이 풍부한 레포르마와 엘 레이 광상은 1990년대 발견되어 부분적으로 지정했지만, 이전 운영자들이 아연이 풍부한 G9 광상에 집중하면서 캄포 모라도 광산 계획에 포함하지 않았다"며 "루카는 기록속도로 오르고 있는 금값 상황에서 이런 금이 풍부한 광상을 목표로 할 수 있는 독특한 위치에 있다"고 설명했다.

루카마이닝은 과거 탐사를 통해 60만m 이상 지하 및 지표 시추, 광권 전체 지질구조 지도 작성, 약 3만개 지화학 토양 시료, 다양한 항공 및 지상 기반 지구물리 탐사 등을 포함한 광범위하고 고품질 독점 지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모든 시추 시료 분석은 멕시코 두랑고에 있는 뷰로 베리타스에서 했다.

회사는 현재 이 방대한 지구물리 데이터를 수집, 정리, 재해석해서 현재까지 현장에서 확인한 38개 이상 탐사 목표를 우선순위를 메기고 있다고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