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벤츠도 22% 인상 불가피…일본만 15% 특혜 논란", “한국·유럽 25% 관세 유지 주목”

폭스바겐은 올해 상반기 관세에 따른 손실이 약 15억 달러(약 2조 원)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미국 최대 완성차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도 2분기에만 11억 달러(약 1조 5200억 원) 관세 비용을 기록했다고 CNBC가 지난 22일 보도했다. 지프 제조사 스텔란티스는 상반기 관세 영향으로 3억 5000만 달러(약 4800억 원) 수익 감소를 예상한다고 밝혔다.
현재 일본만이 협상에 성공해 관세율을 15%로 낮췄다. CNN이 지난 23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 대규모 무역협정을 체결했다"면서 "15% 상호 관세를 포함한다"고 발표했다. 반면 유럽연합(EU)과 한국은 협상이 진행 중이며 아직 25%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 완성차업체들 연쇄 타격…포드 25억·토요타 13억 달러 손실
관세 피해는 전 세계 주요 완성차업체로 퍼지고 있다. CNBC가 지난 5월 한 보도에 따르면, 포드는 해마다 25억 달러(약 3조 4600억 원) 관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일본 업체들 타격도 심하다. 야후 파이낸스에 따르면, 토요타는 4월부터 5월까지 두 달간만 1800억 엔(약 1조 6800억 원) 손실을 기록했다. 포춘지가 지난 5월 보도한 자료에 따르면, 혼다는 올해 해마다 이익 전망을 59% 낮춰 잡았으며, 닛산은 운영이익이 88% 급감했다.
유럽 완성차업체들도 예외가 아니다. 유로뉴스의 지난 5월 보도에 따르면, BMW는 관세로 10억 유로(약 1조 6200억 원) 타격을 받았다. US 뉴스가 지난 7월 보도한 자료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벤츠는 2분기 판매량이 9% 줄었다.
한국 업체들 피해도 본격화하고 있다. 마켓스크리너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기아는 2분기에만 5억 7000만 달러(약 7800억 원) 관세 비용을 떠안았다. 현대차는 2분기 이익이 16% 줄었으며 관세 영향이 8280억 원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미 전기차 수출은 88% 급감했으며 현대차 울산공장 가동 중단이 5차례 일어났다.
◇ 차량 가격 15~22% 오를 전망…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
업계에서는 하반기부터 본격 차량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 트루카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수입 차량은 15~20%, 일부 모델은 최대 22% 가격 인상을 예상한다. 현재까지는 관세 부과 이전 재고 판매로 평균 2.5% 상승에 그쳤지만, 새로 수입하는 차량부터 관세가 본격 반영될 전망이다.
콕스 오토모티브는 관세 대상 차량의 경우 10~15%, 일반 차량도 5% 상승을 예측한다고 발표했다.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차량당 평균 6400달러(약 880만 원), 킵링거는 외국 브랜드 차량이 5000~1만 달러(약 690만~1380만 원) 인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차 시장은 특히 큰 타격을 받고 있다. 디스커버리 얼러트가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중국산 흑연에 93.5%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면서 60kWh 배터리팩당 420달러(약 58만 원) 추가 비용이 생긴다. 홀랜드 앤 나이트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리튬이온 배터리 관세도 7.5%에서 25%로 올렸다.
S&P 글로벌은 미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 전망을 12%에서 11.1%로 낮춰 잡았다고 발표했다. 콕스 오토모티브가 지난 4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신차 전기차 판매는 전월보다 5.9% 줄었다. 컬럼비안지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블룸버그NEF는 관세와 기후정책 후퇴로 미국 배터리 셀 생산능력 29~72%가 불필요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업계에서는 완성차업체들이 생산기지 재배치와 공급망 다변화로 대응하고 있다고 본다. 현대·기아는 멕시코 공장 가동률을 높이고 있으며, 혼다는 시빅 하이브리드 생산을 일본에서 인디애나로 옮겼다. GM은 미국 트럭 생산을 늘리고, 포드는 멕시코 생산 모델 수입을 중단했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CNBC가 지난 12일 보도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 관세로 미국 자동차 판매량이 수백만 대 줄고 총 1000억 달러(약 138조 4500억 원)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한다. 시장에서는 단기로는 가격 상승과 판매 감소가 불가피하며, 오래 보면 생산기지 재배치와 공급망 다변화가 빨라질 것으로 본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