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 美 관세 유예 시한 앞두고 총력전…“한화 조선소 포함한 협력 패키지 제안”

글로벌이코노믹

한국, 美 관세 유예 시한 앞두고 총력전…“한화 조선소 포함한 협력 패키지 제안”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한국 정부가 미국의 대(對)한국 관세 부과 시한을 앞두고 무역합의를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30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다음달 1일(이하 현지시각)로 예정된 시한 전에 미국 재무부와 양자회담을 열고 조선업 협력을 포함한 포괄적 경제협력 패키지를 제안할 계획이다.

구 부총리는 전날 워싱턴DC로 출국하기 직전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협상은 한국과 미국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라며 “한국이 준비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조선 산업 등 중장기 협력 방안을 미국 측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 한화, 美 필리 조선소 확장 추진…김동관도 방미


이번 협상과 관련해 한화그룹은 미국 정부에 대규모 투자계획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한화그룹이 최근 인수한 펜실베이니아주 필리 조선소의 확장을 포함한 투자안을 마련했다”며 “이 계획은 한화그룹 본사와 일부 계열사가 함께 추진하는 방안”이라고 보도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도 무역협상 지원을 위해 직접 워싱턴에 체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필리 조선소는 미국 내 전략 조선 능력을 확대할 수 있는 거점으로 한국 측은 이를 활용한 한미 조선 협력 모델을 제안할 방침이다.

◇ 외교·산업 라인 총출동…러트닉 상무 “협상 의지 강해”


이번 협상을 위해 구윤철 부총리를 비롯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 현지에 급파돼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등과 연쇄 접촉 중이다.

러트닉 장관은 28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한국 측 인사들이 스코틀랜드까지 날아와 직접 나를 만났다”며 “얼마나 이들이 정말로 합의를 성사시키고 싶어하는지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조선업 협력 △에너지 및 첨단산업 투자 △공정무역 질서 구축 등 다각적인 포괄적 패키지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관세 부과를 막는다는 계획이다.

◇ 베선트와 양자회담 예정…“국익 기반한 합의 도출 목표”


구 부총리는 시한 직전인 31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양자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베선트 장관은 미국 교역국들과 무역협상을 총괄하고 있는 사령탑으로 실제 협상의 키를 쥐고 있는 핵심 인물이다.

구 부총리는 “이번 협상이 한국 경제와 산업의 중장기 안정성을 위한 분수령이 될 수 있다”며 “국익에 기반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과 미국의 이번 무역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부터 예고해온 한국 주력 수출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조치가 내달 1일부터 발효될 가능성이 커지자 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성격이 강하다는 분석이다. 한국 정부는 미국 측의 수출입 구조를 감안한 맞춤형 투자·산업 협력을 제안함으로써 외교적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