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속보] 암호화폐 트레저리 DAT 끝내 "무더기 연쇄 파산" CCN뉴스... 비트코인 솔라나 이더리움 "뉴욕증시 레버리지 강제 청산"

글로벌이코노믹

[속보] 암호화폐 트레저리 DAT 끝내 "무더기 연쇄 파산" CCN뉴스... 비트코인 솔라나 이더리움 "뉴욕증시 레버리지 강제 청산"

스트래티지(Strategy) 사기 고발
암호화폐 트레저리 DAT 끝내 무더기 연쇄 파산 CCN뉴스... 비트코인 솔라나 이더리움  뉴욕증시 레버리지 강제 청산 이미지 확대보기
암호화폐 트레저리 DAT 끝내 "무더기 연쇄 파산" CCN뉴스... 비트코인 솔라나 이더리움 "뉴욕증시 레버리지 강제 청산"
[속보] 암호화폐 트레저리 DAT 끝내 "무더기 연쇄 파산" CCN뉴스... 비트코인 솔라나 이더리움 "뉴욕증시 레버리지 강제 청산"

암호화폐 트레저리 DAT 끝내 "연쇄 파산" CCN뉴스... 비트코인 솔라나 이더리움 "뉴욕증시 레버리지 강제 청산"

기업형 디지털자산 트레저리(Digital Asset Treasury·DAT)가 불과 몇 달 만에 사실상 붕괴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암호화폐 전문매체 CCN아 보도했다. CCN은 암호화폐를 대량 매입해 주가를 끌어올리던 수십 개 기업이 최근 80%에서 많게는 95%까지 폭락하며 시장은 급격한 냉각기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CCN에 따르면, 올해 200개 이상 상장기업이 비트코인(Bitcoin, BTC), 이더리움(Ethereum, ETH), 솔라나(Solana, SOL) 등 디지털자산을 국고처럼 보유하는 DAT 전략을 도입했지만, 10월 이후 시황이 꺾이면서 주가가 자산보다 더 빠르게 무너지는 ‘버블 붕괴’ 양상이 뚜렷해졌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 이후 비트코인이 10만달러 아래로 떨어지고 알트코인이 급락하자 DAT 종목들은 고평가 프리미엄을 잃고 공포 매도에 직면했다.

DAT 모델의 전형을 제일먼자 만든 곳은 과거 마이크로스트래티지에서 사명을 변경한 스트래티지(Strategy)다. 이 회사는 평균 매입가 6만 6,384.56달러에 64만 1,692BTC를 축적하며 성공 사례로 주목받았고, 이를 본 전 세계 중소기업들이 2025년 들어 잇달아 수십억달러 규모의 주식 발행과 차입을 통해 BTC·ETH·SOL을 사들였다. 암호화폐와 무관한 스포츠 투자사, 전자담배 회사까지 DAT 대열에 합류하는 등 투기적 유입이 정점에 달했다. 암호화폐 가격이 꺾이자 DAT 특유의 구조적 리스크가 드러났다. 대다수가 부채나 증자 자금으로 코인을 매입했기 때문에 가격이 떨어지면 주가는 더 큰 폭으로 무너지며 순자산가치(NAV) 아래로 밀린다. 주가 하락은 다시 대출기관의 담보 요구로 이어지고, 기업은 보유 코인을 손절매해 유동성을 메워야 한다. 이 과정에서 추가 매도 물량이 시장에 쏟아지며 가격을 더 끌어내리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카모토홀딩스(Nakamoto Holdings)는 96% 폭락했다. 일본의 메타플래닛(Metaplanet)은 고점 대비 80% 하락한 상태다. 카데나(Kadena)는 토큰 급락 후 사업을 전면 중단했고, 애플라이드DNA사이언스(Applied DNA Sciences)는 DAT 루머로 급등·급락한 뒤 규제 조사까지 받고 있다. 심지어 살아남은 기업들도 흔들리고 있다. 스트래티지는 연중 고점 대비 50% 떨어졌고, 이더리움 기반 DAT 대표주 비트마인(BitMine Immersion) 역시 주가가 보유 ETH 가치보다 낮게 거래되는 상황이다. 뉴욕증시에서는 DAT가 비트코인보다 더 변동성이 크고, 리스크는 훨씬 크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DAT가 향후 지속 가능한 기업 모델이 될지, 아니면 암호화폐 역사에 또 하나의 단명한 버블로 기록될지는 다음 사이클이 결정할 전망이다.

금 투자자 피터 쉬프(Peter Schiff)가 세계 최대 비트코인(Bitcoin, BTC) 국고 기업으로 성장한 스트래티지(Strategy)의 사업 모델을 사기라고 비판하며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에게 공개 토론을 요구했다. 피터 쉬프는 12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리는 바이낸스 블록체인 위크 무대에서 마이클 세일러와의 토론을 제안하며 스트래티지의 수익 구조를 정면 비판했다. 그는 스트래티지가 배당 성격의 우선주를 기반으로 자금을 조달하지만 발표된 수익률은 실제 지급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펀드 매니저가 이 구조를 인식하면 우선주 매도가 발생하고, 이후 회사가 더 이상 부채를 발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며 데스 스파이럴로 빠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피터 쉬프의 암호화폐에 대한 강한 비판은 비트코인 가격 폭락 시점과 맞물렸다. 스트래티지를 포함한 암호화폐 국고 부문이 조정 국면에 진입한 가운데, 금 가격은 4,000달러 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차별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10월 초 기록한 12만 5,000달러 고점 대비 20% 이상 낮아진 수준이며, 10월 10일 발생한 급락 이후 수십억 달러 규모의 시가총액이 사라졌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