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정부도 '급전' 필요하다...연말까지 2000조원 차입 예상

글로벌이코노믹

美 정부도 '급전' 필요하다...연말까지 2000조원 차입 예상

베선트 장관 "짧고 굵게 빌리겠다" 선언에 월스트리트 '술렁'
미국의 막대한 예산적자와 정부의 자금 조달 방식이 올해 채권시장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의 막대한 예산적자와 정부의 자금 조달 방식이 올해 채권시장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미국의 막대한 예산적자와 정부의 자금 조달 방식이 올해 채권시장 최대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7~9월 분기에 1조 달러(1383조 원) 규모의 신규 차입 계획을 예고해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다.

지난 29(현지시각) 배런스 보도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7월 이후 연말까지 총 15000억 달러(2075조 원) 이상을 빌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재무부는 30(현지시각) 분기별 채권 재융자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정부가 부채 상환을 위해 단기 국채 발행을 대폭 늘릴 것이라는 점이 확인될 전망이다.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 그룹(MUFG)의 미국 거시경제 전략 책임자인 조지 곤칼베스(George Goncalves)"이번 재융자는 대규모 예산안과 부채 한도 증액 이후에 나온 것이어서 아마도 가장 중요한 재융자 조치 중 하나일 것"이라고 말했다.

분기별 재융자란 정부가 빚을 갚기 위해 새로운 빚으로 갈아타는 과정으로, 의회의 부채 한도 증액 승인을 앞두고 정부 지출로 바닥난 재무부 계좌 자금을 마련하는 것이다.

7~9월 분기 1조 달러 차입, 단기 국채 비중 25%까지 확대


재무부는 7월부터 9월까지 분기에 현금 잔고를 보충하면서 약 1조 달러를 빌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4월 발표한 것보다 4530억 달러(626조 원) 늘어난 규모다. 반면 10월부터 12월까지 분기에는 차입 규모가 5900억 달러(815조 원)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연방정부의 재정적자가 해마다 약 2조 달러(2765조 원)에 이르는 상황에서 정부는 이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다양한 만기의 채권을 내놓고 있다. 베선트 장관은 최근 재무부가 단기 국채 발행과 같은 단기 자금 조달을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앞으로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차입 비용도 낮출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나티시스 기업·투자은행의 미국 금리 전략 책임자 존 브릭스(John Briggs)"단기 국채 발행이 계속 늘어날 것이며, 우선 채권 발행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전체 국채 발행에서 단기 국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21%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25%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단기 국채 발행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것은 베선트를 비롯한 보수주의자들의 기존 주장과도 어긋난다. 그들은 재닛 옐런 전 재무장관이 장기 차입 비용을 낮추기 위해 장기 국채를 더 많이 발행하지 않았다고 비판해 왔다. 단기 국채는 몇 주에서 1년까지 만기가 다르게 발행될 수 있으며, 현재로서는 정부가 이런 증권을 발행하는 것이 더 저렴할 것이다. 장기 국채에는 일반적으로 프리미엄이 붙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채권을 더 오랫동안 보유하도록 유도한다.

◇ 관세 수입 증가와 안정화폐 수요가 채권시장에 미칠 영향


브릭스는 "지금은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타이밍 면에서도 타당하다""단기 투자를 반복하는 것도 타당하다. 이런 단기 투자에 대한 수요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시장에서는 채권 공급 과잉의 징후가 크게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BMO 캐피털 마켓의 미국 금리 전략 책임자인 이안 린젠(Ian Lyngen)"결국 베선트의 의도에 대해 우리가 실질적으로 다르게 이해하게 될 것 같지는 않다""베선트의 차입 수요가 상당히 늘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이자를 늘리지 않는다면 사실상 어음 공급이 늘어나는 셈"이라고 분석했다.

재무부는 유동성 개선을 위해 10년에서 30년 만기 국채 매입 규모를 확대할 계획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브릭스는 재무부가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매입 규모를 80억 달러(11조 원)에서 120~160억 달러(16~22조 원)으로 늘릴 수 있다고 밝혔다. 전략가들은 재무부가 자사주 매입 규모를 늘리지 않으면 수익률이 오를 수 있다고 말한다.

트럼프 행정부가 유럽연합에 대한 15% 관세 협정을 포함한 새로운 관세 협정을 발표하면서, 관세가 경제와 인플레이션, 재무부 금고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곤칼베스는 재무부가 6월 관세 총액이 270억 달러(37조 원)였다고 보고했으며, 관세 수입이 곧 월 최대 350억 달러(48조 원)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그것은 실제로 국채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법안으로 미국 국채의 지원을 받는 안정화폐(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브릭스는 이런 추세가 채권시장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