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하반기 본격 추진…업계, MRO·공급망 확대 기대
미국, 중국 조선업에 위기감…한국은 전략적 방위·경제 파트너
미국, 중국 조선업에 위기감…한국은 전략적 방위·경제 파트너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월 14일 국내 조선업체와 기자재 업체들을 불러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산업부는 대형 조선사부터 중소 조선소, 장비 제조업체까지 아우르는 산업 생태계의 '알찬 동반 성장'을 목표로 내세웠다.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다음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 것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박동일 제조산업정책관은 "하반기에는 한·미 조선 협력을 본격 추진하고, 조선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대책을 마련하며, LNG 운반선을 이을 새로운 성장 동력 전략 같은 중요한 정책들을 추진하겠다"고 자세한 계획을 말했다.
업계도 미 해군 함정의 유지보수·수리·정비(MRO) 협력을 강화하고 공급망 협력을 넓히는 일이 기자재 업계를 포함한 산업 전반에 이익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단순 협력 넘어 '대중국 견제' 동맹으로
이번 한·미 협력의 밑바탕에는 중국 조선업 성장에 위기감을 느끼는 미국의 전략 구상이 깔려있다. 양국 조선업 협력은 한국이 미국의 대중국 견제에 힘을 보태는 것을 전제로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주 열린 한 토론회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성길 통상정책국장은 "조선업은 우리가 중국을 견제하고자 미국과 협력하도록 요청받는 대표 분야"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중국 조선업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으며 우리를 전략적 방위와 경제 동반자로 본다"면서 "조선 협력 과정에서 미국은 가령 중국산 자재 사용을 삼가는 방법으로 중국에 함께 맞설 것을 요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장 국장은 "중국 견제 참여와 맞물린 조선 협력이지, 따로 떼어 볼 수 있는 개념이 아니다"라며 "전체 큰 틀 안에서 조선 분야 협력 방법과 논란이 되는 존스법(Jones Act) 문제 해결책도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 '선박과 반도체' 맞바꿔 관세 문제 푼다
이런 움직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정한 상호 관세 부과 시한이 다음 달로 다가온 가운데 나왔다. 미국이 중국과 무역 갈등을 겪으면서 한국에 스마트 산업(조선, 반도체 등) 협력과 미국 내 경쟁력 있는 제조업을 다시 세우는 데 참여하라고 요구하자, 한국 정부는 이를 지렛대로 삼아 관세 문제를 풀려는, 이른바 '선박과 반도체(ships and chips)' 맞교환 전략을 쓰는 것으로 보인다고 매체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