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LA메트로, 현지 노동단체와 노동분쟁 매듭…현대로템 전동차 사업 정상진행

글로벌이코노믹

LA메트로, 현지 노동단체와 노동분쟁 매듭…현대로템 전동차 사업 정상진행

'취약계층 10% 고용' 조항, 계약에 명시하며 법적 분쟁 일단락
2028년 올림픽 앞두고 D노선에 신차 42대 우선 투입…납품 일정 차질 없어
현대로템이 제작한 신형 전동차가 2028년 LA 올림픽을 앞두고 D노선에 투입된다. 현대로템은 LA 메트로와의 노동 분쟁을 해결하고, 총 182대의 전동차를 차질 없이 공급할 예정이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현대로템이 제작한 신형 전동차가 2028년 LA 올림픽을 앞두고 D노선에 투입된다. 현대로템은 LA 메트로와의 노동 분쟁을 해결하고, 총 182대의 전동차를 차질 없이 공급할 예정이다. 사진=로이터
2028년 LA 올림픽을 앞두고 난항을 겪던 LA 메트로의 신규 전동차 도입 사업이 본궤도에 오른다. LA 카운티 교통국(메트로)은 2024년 현대로템과 맺은 7억 3000만 달러(약 1조 144억 원) 규모의 차량 계약을 둘러싼 법적 분쟁을 마무리하고, 일부 노동 관련 조항을 수정하는 조건으로 사업을 정상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LA타임스가 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합의는 시민단체 '잡스 투 무브 아메리카(JMA)'가 지난해 메트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데서 비롯됐다. 이 단체는 메트로가 현대로템에 최소 182량의 신규 전동차를 발주하는 과정에서 공공 계약법과 자체 정책을 어겼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가 문제 삼은 내용은 ▲노동자 임금과 수당 관련 세부 정보 미공개 ▲노숙인·한부모·퇴역 군인 같은 '취약계층 노동자' 10% 의무 고용 조항 누락 등이다.

메트로는 소송 비용으로 25만 달러(약 3억 4742만 원)를 지급하고, 문제가 된 노동 관련 요건을 계약서에 명시하는 조건으로 현대로템과의 기존 계약을 유지하기로 했다. 앞으로 계약의 투명성을 높이고 윤리를 강화하고자 외부 전문가를 들이고 정보 공개를 확대하는 데도 뜻을 모았다.

◇ 올림픽 전 42대 투입…납품·공사 ‘이상무’
메트로 쪽은 "소송 때문에 납품 일정에 영향은 없다"고 밝혔다. 기존 계획대로 올림픽이 열리기 전까지 신규 차량 42대를 먼저 도입한다. 그 뒤 2030년 5월까지 140대를 추가로 납품해, 모두 182대(50대 추가 선택 가능)의 차량이 낡은 전동차를 대체한다. 새로 들여올 차량은 최첨단 HR5000 기종으로, 최고 시속 113km로 달리며 한 대에 245명까지 탈 수 있다. 이 차량들은 D 노선(옛 퍼플 노선)에 투입할 예정이며, 연장 공사는 세 단계에 걸쳐 차례로 진행한다.

1단계로 2025년 가을 윌셔/라 브레아, 윌셔/페어팩스, 윌셔/라 시엔에가 세 역이 문을 열고, 2단계는 2026년 베벌리 힐스와 센추리 시티/컨스텔레이션 역이 개통한다. 마지막 3단계로 2027년 웨스트우드/UCLA, 웨스트우드/VA 병원 역을 열어 올림픽 전에 주요 구간 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 "투명성 위한 승리"…이행 여부 감독 과제로

'잡스 투 무브 아메리카'의 매들린 재니스 공동 상임이사는 "이번 조달은 잘못 처리된 사례"라고 지적하면서도 합의 결과는 좋게 평가했다. 재니스 이사는 "공공 계약 같은 정부 업무를 개방적이고 투명하게, 또 더없이 깨끗한 윤리에 따라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합의는 투명성을 위한 승리"라고 강조했다.

이번 합의는 연방과 주 정부 예산이 투입돼 높은 윤리가 요구되는 LA 메트로 사업의 투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 나아가 현지 일자리 창출과 사회 가치 실현이라는 의미도 지닌다. 기술력과 납기 준수 능력을 바탕으로 미국 시장에서 잇따라 사업을 따낸 현대로템으로서는 이번 합의를 성실히 이행해 사업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대외 신뢰도를 한층 높일 기회를 잡은 셈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