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저가소포 관세 면제 폐지 뒤 미국행 우편 81% 급감

글로벌이코노믹

저가소포 관세 면제 폐지 뒤 미국행 우편 81% 급감

만국우편연합 “192개국 우편 송·수신 81% 줄어…88개국 배송 일부 또는 전면 중단”
트럼프 대통령의 ‘최소 면제’ 폐지 조치로 미국으로 향하는 국제 우편 물량이 전주 대비 81% 감소했다. 이미지=GPT4o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 대통령의 ‘최소 면제’ 폐지 조치로 미국으로 향하는 국제 우편 물량이 전주 대비 81% 감소했다. 이미지=GPT4o
지난달 29일부터 시행된 최소 면제폐지 조치로 미국으로 향하는 국제 우편 물량이 전주 대비 81% 감소했다.

스위스 베른에 본부를 둔 만국우편연합(Universal Postal Union·UPU)은 지난 6(현지시각) 공개한 보고서에서 192개 회원국의 우편 송·수신 건수가 급감했으며, 이 가운데 88개국이 미국행 우편 서비스를 일부 또는 전부 중단했다고 밝혔다고 같은 날 NBC 뉴스가 전했다.

지난 73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으로 1938년 도입된 저가소포 관세 면제가 종료되면서 800달러(111만 원) 이하 소포에도 10~50% 관세가 적용됐다. UPU새 규정 시행 이후 운송업체와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이 승인한 일부 사업자만 관세를 징수·송금할 수 있어 글로벌 우편 네트워크가 사실상 멈췄다고 설명했다.

◇ 배송 중단 사태 원인과 현황
UPU 자료에 따르면 822일을 100으로 환산한 미국행 우편 지수는 일주일 뒤인 29일에 19로 곤두박질쳤다. UPU회원국에 절차 안내와 준비 기간을 충분히 주지 않아 88개국 우편 사업자가 배송을 보류했다고 지적했다. 항공사 등 물류업체가 새로운 관세 징수 체계를 구축하지 못했고, CBP 자격을 갖춘 적격 주체와의 연결도 마련되지 않아 운영 중단이 불가피했다.

백악관은 미국 거주자에게 선물 100달러(138000), 개인 기념품 200달러(277000)까지는 관세를 면제한다고 밝혔으나, 현장에서는 관세 징수 절차가 복잡해지면서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 부담이 크게 늘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 업계 반응과 전망

국제 전자상거래 업계 관계자는 관세 징수 주체와 방식을 미리 구체적으로 안내했더라면 우편 물량 급감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이번 조치가 글로벌 배송 체계의 재검토를 촉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당분간 미국행 우편 물량 감소와 배송 지연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