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바이든, 퇴임 후 몸값도 추락…유료 강연 수요 저조

글로벌이코노믹

바이든, 퇴임 후 몸값도 추락…유료 강연 수요 저조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퇴임 후 기대했던 수익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지난 여름 인사 관리 로비단체 SHRM이 주최한 연례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했으나 당시 강연료는 27만5000~30만 달러(약 3억8000만~4억1500만 원) 수준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바이든 측이 제시한 통상 강연료 범위인 30만~50만 달러(약 4억1500만~6억9100만 원)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WSJ는 전했다.

퇴임 직후 바이든 전 대통령은 약 80만 달러(약 11억6000만 원)의 개인 빚을 갚겠다고 주변에 털어놓기도 했다. 이 빚은 2017년 6월 구입한 델라웨어주 리호보스비치 자택 담보대출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택의 매입가는 270만 달러(약 37억3000만 원)였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연방정부 재직 경력을 바탕으로 매년 최대 41만6000달러(약 57억5000만 원)의 연금을 수령한다. 이 가운데 약 25만 달러(약 34억5000만 원)는 대통령 퇴직 연금, 16만6000달러(약 22억9000만 원)는 상원의원·부통령 재직 시절 연금이다.

출판 수익은 다소 위안이 되고 있다. 그는 최근 해셋 북그룹과 회고록 계약을 체결하며 1000만 달러(약 1382억 원)의 계약금을 확보했다. 다만 이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부부가 퇴임 후 맺은 6000만 달러(약 829억2000만 원) 규모의 계약보다는 크게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바이든의 퇴임 후 활동은 여전히 빚 상환, 자녀와 손주 지원 등 재정 부담에 묶여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장남 헌터 바이든의 법적 문제와 재정난까지 겹치며 경제적 여건은 녹록지 않다는 평가다.

WSJ는 “바이든 전 대통령은 동시대 전직 대통령들과 달리 기대에 못 미치는 수입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퇴임 후 영향력 확대에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