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중대발표 "중국과 교역 중단 검토"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중대발표 "중국과 교역 중단 검토"

대두 수입금지 경제적 적대 행위 ... 뉴욕증시 비트코인 "APEC 정상회담 충돌 "
트럼프 기자회견 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 기자회견


트럼프 "中, 의도적으로 美 대두 구입 안해…경제적 적대행위"

트럼프 "중국과 식용유 등 교역 단절하는 방안 검토 중"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향해 또 강경 발언을 쏟아내면서 미국-중국 무역갈등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APEC 정상회담을 앞두고 또 충돌하는 모습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 시각 14일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중단'을 비판하며 "그 보복 조치로, 식용유 및 다른 교역 품목과 관련된 중국과의 사업 관계를 단절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의도적으로 미국의 대두를 사지 않고 우리 대두 농가들에 어려움을 주는 것은 경제적으로 적대적인 행위라고 믿는다"면서 교역 중단을 거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 식용유를 우리 스스로 손쉽게 생산할 수 있으며, 중국으로부터 그것을 구입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맞서 '대중 100% 추가 관세'를 예고했다. 관세 부과 시점인 11월 1일 전까지는 대화를 통해 해결점을 찾아보겠다는 것이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이고, 미·중 양국은 물밑 논의를 이어오고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중단 조치를 비판하고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예고한 것은 자신의 지지 기반인 농민들을 챙기는 모습을 보이는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예정된 회담을 앞두고 협상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와 미국의 맞대응으로 격화된 무역 갈등이 결국에는 순조롭게 해결될 것이라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미중 관계에 대해 "우리는 중국을 조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난 시진핑 국가주석과 훌륭한 관계를 갖고 있지만 그가 때때로 짜증을 내기도 한다. 중국이 사람들을 이용하기 좋아하기 때문인데 중국이 우리는 이용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우리는 중국과 공정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난 이게 괜찮아질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괜찮아지지 않는다면 그것도 괜찮다"고 덧붙였다.

미중 양국은 지난 5월 상호 관세 인하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재개 등을 조건으로 무역 합의를 타결한 뒤 '휴전' 상태로 후속 협상을 이어왔지만, 중국이 최근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 방침을 발표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11월 1일부터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맞대응하는 등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미국산 대두 수입을 중단하면서 무역협상의 쟁점이 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대두 수입 다각화를 통해 대처하고 있다는 점을 중국 관영매체가 강조했다. 지난달 중국 대두 수입량은 1290만t을 차지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 9월까지 총 대두 수입량도 8618만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3% 증가했다. 미·중 간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이 수요 충족을 위해 브라질 등의 대두 공급업체로부터 수입을 늘리고 있다는 것이다. .

베이징둥팡이거농업컨설팅의 선임 분석가 마원펑은 해당 매체 인터뷰를 통해 "중국 기업들이 중·미 간 무역 긴장 고조의 여파를 헤쳐나가기 위해 다각화 전략을 통해 대두 구매를 늘려왔다"며 "견조한 공급은 남미 국가들이 중국에 대두를 공급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갖고 있음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브라질은 최근 수년간 대두 생산을 위한 훌륭한 조건을 갖추고 생산량을 늘려왔기 때문에 해외 구매자에게 브라질에서만 1억t 이상의 대두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브라질 곡물수출업협회(ANEC)에 따르면 올해 1∼10월 브라질의 대두 수출량은 2023년의 1억100만t을 넘어선 1억200만t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여전히 브라질의 최대 대두 수출대상국으로 현재 중국산 대두의 79% 이상이 중국으로 향하고 있다.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중단 문제가 미·중 간 무역협상 과제 중 하나로 떠오르는 가운데 미국산 대두를 수입하지 않아도 중국은 별다른 영향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