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무부 61·62호 공고로 역외 적용 신설…정광 톤당 2만6205위안 상향
전자·전력·국방 원가 압박 증대…미국 관세 상향과 맞물린 불확실성 확대
전자·전력·국방 원가 압박 증대…미국 관세 상향과 맞물린 불확실성 확대

14일(현지시각) IT 전문 매체 디지타임스에 따르면 중국북방희토그룹과 내몽고포두철강연합이 4분기 희토류 정광 거래 가격을 세전 톤당 2만6205위안(약 524만6765원)으로 올렸다. 인상 폭은 37%다. 다섯 분기 연속 인상으로 2023년 말과 견주면 누적 상승률이 56%를 넘는다. 게다가 중국 정부가 인공지능(AI)과 반도체까지 포함한 새 수출 제한을 알린 뒤 하루 만에 가격 조치가 뒤따랐다.
두 회사는 그동안 유지해 온 분기 조정 공식을 따라 가격을 올렸다. 양사의 동시 인상은 시장 기준을 끌어올리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정광 가격이 오르면 자석·모터·센서·고성능 합금 같은 핵심 소재 단가가 따라 오르고, 전자·전기, 자동차, 재생에너지, 항공·방산 전방에서 가격 재산정과 납기 조정 압박이 커진다.
수요와 공급은 팽팽하다. 전기차와 풍력 설비 확대로 스칸듐·네오디뮴 같은 원소 수요가 뛰고, 중국 정부는 생산 쿼터와 원료 흐름 관리를 강화해 왔다. 이런 조건이 겹치며 가격 상승세가 이어졌다.
수출 통제, 원자재 넘어 장비·기술·조립품까지
중국 상무부는 지난 9일 제61·62호 공고를 통해 희토류 관련 수출 통제를 넓혔다. 원소·정광뿐 아니라 희토류를 담은 장비, 관련 기술, 조립품까지 허가 대상으로 묶었다. 일정 비율 이상의 중국산 희토류를 쓰거나 중국 기술을 활용해 해외에서 만든 제품에도 허가 신청을 요구하는 역외 적용 조항을 새로 뒀다. 통제를 원재료 단계에만 두지 않고 중간 가공과 최종 제품 단계까지 이어지도록 설계한 구조다.
새 규정은 적용 범위를 넓혔다. 14나노미터 공정, 고밀도 메모리, AI 응용에 쓰는 반도체와 장비도 관리 틀에 넣었다. 중신증권은 이번 조치를 '공급망 전반에 걸친' 규제로 향하는 움직임이라고 평가한다.
전자·전력·국방으로 번지는 비용·납기 변수
네오디뮴-철-붕소(NdFeB) 등 영구자석은 전자기계 산업의 핵심 소재다. 전기차 구동 모터, 가변 주파수·서보 시스템, 정밀 구동 모듈에 폭넓게 들어간다. 이전 제한만으로도 일부 자동차용 자성 재료 납기가 빠듯해졌는데, 이번에는 장비·기술·조립품까지 허가 대상이 넓어져 민감 용도는 건별 심사가 필요할 수 있다. 중고급 전자기계 업체부터 재고 운용과 납기 관리 부담이 먼저 커질 수 있다.
전력 장비도 영향권에 있다. 변압기·리액터·필터에 쓰는 고투자율 소재와 희토류 첨가 재료는 고전압 직류(HVDC)와 대규모 전력 변환 설비 성능과 직결된다. 중국 조달 비중이 높거나 중국 기술 의존도가 크면 허가 대기 시간이 곧바로 납기 변수로 이어진다. 중전압 고체 변압기(SST)와 고주파 인버터처럼 대체재 풀이 좁은 장비는 가격 민감도가 더 높다. 데이터센터의 펌프·팬, 서보·가변 주파수 시스템은 고성능 자성 재료 의존도가 높아 분말·합금 가격 상승이 공급망 전반의 '아래에서 위로' 비용 압력을 키우고 있다.
정밀기계와 국방 분야는 심사가 더 엄격해질 수 있다. 고성능 서보 모터, 항법·레이더 장비는 희토류 자석과 특수 합금에 크게 의존한다. 새 규정은 국방 연관 품목에 더 엄격한 심사를 적용해 이중용도 부품 납기 지연 가능성을 높인다. 미국의 희토류 화합물·금속 수입 비중이 중국에 크고, 자석 생산과 중간 가공도 중국 쏠림이 커서 병목은 원광 자체보다 중간 가공·자석 생산 능력에서 생길 수 있다.
이번 조치는 통제 강화이지 전면 금지는 아니다. 수요가 있는 기업은 규정에 맞춰 허가를 신청하면 된다. 영향의 크기는 허가 승인 속도와 대체 공급선 확보 속도에 달려 있다. 이전 관세 국면을 겪은 기업들은 가격 조건과 납기 조항을 다시 짜며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단기에는 부품·모듈 업체 수익성이 먼저 눌린다. 상승분을 완제품 가격에 충분히 옮기지 못하거나 허가 변수로 납기가 늘면 마진이 줄어든다. 중기에는 재고 전략을 손질해야 한다. 핵심 자성 재료와 분말, 일부 합금류는 안전재고를 높이고, 장기 계약과 현물 조달 비중을 다시 맞출 필요가 있다. 장기에는 조달의 탈중국화와 공급망 다변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중국은 역외 적용 조항을 규제 체계 개선 차원이라고 설명한다. 미국은 관세를 높여 대응했다. 수출 통제와 관세가 동시에 작동하면 기업은 가격·허가·관세라는 세 변수를 함께 관리해야 한다. 희토류는 소량으로도 성능과 효율을 좌우해 대체가 쉽지 않다. 일부 품목은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