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본사 '웨이퍼 공급 중단'에 中 "새 공급선 확보" 응수
美-中 해빙 기류 속 中상무부 "수출 예외 가능"…공급망 안정 '유화 제스처'
								美-中 해빙 기류 속 中상무부 "수출 예외 가능"…공급망 안정 '유화 제스처'
이미지 확대보기이 공개 비난으로 단순한 재정·계약 갈등을 넘어 경영권과 핵심 공급망 운영을 둘러싼 양측의 갈등은 임계점에 이르렀다. 특히 넥스페리아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 주력 제품으로 전 세계 자동차 전장 및 산업용 칩 시장의 약 40%를 공급하는 핵심 기업이다. 이번 사태가 미국, 유럽, 일본의 주요 완성차 및 전자 산업에 연쇄 파급을 일으켜 일부 공장 가동 중단(셧다운)이나 부품 가격 급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 반도체 공급망의 우려를 다시금 심화시키고 있다.
中 "미지급" vs 本社 "계약 위반"…웨이퍼 공급 중단
넥스페리아 차이나는 11월 2일 새벽 발표한 성명에서, 본사가 제기한 '계약 조건 위반'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이들은 오히려 네덜란드 모회사가 중국 광둥성 둥관에 위치한 조립 및 테스트 시설(ATGD)의 지급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앞서 네덜란드 본사 측은 "중국 측의 계약 위반과 경영 방해가 있었다"고 맞서며, 넥스페리아 국제 물량의 최대 생산 거점 중 하나였던 둥관 공장의 웨이퍼(반도체 기본 소재) 공급을 지난 10월 26일부로 중단한 바 있다.
넥스페리아 차이나 측은 "우리는 채무 불이행 사실이 없다"고 강조하며, "네덜란드 본사의 최근 성명은 사실을 오도하고 있으며 심각한 기만 행위"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본사의 공급 중단 결정에도 넥스페리아 차이나는 둥관 공장의 운영이 현재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즉각 비상 대응 계획을 가동했으며, "외부 웨이퍼 공급망을 확보해 생산 차질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2025년 말은 물론 그 이후까지 안정적인 납품을 보장할 중국 현지 및 제3국 공급업체와 긴급 계약을 체결, 단기적인 운영 안정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신규 확보한 웨이퍼 생산능력은 중단 없는 생산과 고객 주문 이행을 위해 인증 테스트가 진행 중이다.
넥스페리아 차이나는 "중국 경영진이 지급 조건을 미준수했다"는 본사의 주장을 일축하며, "이는 의무를 태만히 한 본사가 고객 신뢰를 훼손하는 '일방적이고 무책임한' 조치"라고 역공을 폈다.
1년 전 '경영권 장악'이 갈등의 뿌리
양측의 첨예한 갈등은 2024년 9월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네덜란드 정부는 '상품가용성법(Goods Availability Act)'에 따른 국가 안보 우려를 명분으로 넥스페리아의 경영권을 임시로 장악했다. 이 조치는 넥스페리아의 핵심 제조 설비와 특허 등이 100% 모회사인 중국 윙텍으로 이전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이 조치로 넥스페리아의 중국 모회사인 윙텍 테크놀로지의 지배 지분이 1년간 사실상 동결됐고, 중국인 최고경영자(CEO)였던 장쉐정은 즉각 교체됐다. 시장에서는 네덜란드의 이러한 개입을 유럽과 미국이 주도하는 대(對)중국 기술 견제와 수출 통제 강화 노력이 확산한 연장선으로 해석했다.
네덜란드 정부의 조치에 맞서 중국 정부도 2024년 10월 4일, 상무부를 통해 특정 넥스페리아 제품의 수출 제한을 발표하며 대치 국면을 이어갔다.
하지만 최근 미-중 정상 간 대화 재개로 양국 관계에 미묘한 해빙 기류가 감지되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해 주목받는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11월 1일 성명을 통해 "'공급망 안보와 안정'을 위해 현실적 어려움을 겪는 기업은 중앙 또는 지방 당국을 통해 사안별 면제(유연성)를 적용하도록 수출 예외를 신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분석가들은 이 지침이 넥스페리아 사태를 둘러싼 중국 정부의 실용적인 태도를 시사하는 신호일 수 있다고 풀이한다. 넥스페리아 분쟁과 반도체 기술을 둘러싼 지정학적 갈등이 국제 자동차와 반도체 공급망 전반을 교란할 수 있다는 국제 사회의 우려를 일부 완화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다.
이번 넥스페리아 사태는 단순한 '모자(母子) 기업' 간의 재정·계약 갈등을 넘어, 국제 공급망 재편, 자동차 산업의 미래, 그리고 미-중-유럽 간의 기술 패권 경쟁이 복합적으로 얽힌 사안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미지급금, 경영권, 국제 안보 이슈가 여전히 구조적 리스크로 존재하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산업계 전반의 새로운 공급망 재편과 정책적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