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전망보다 210억 달러 축소...관세 수입 급감하면 차입 규모 달라질 수도
이미지 확대보기배런스는 지난 3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가 이번 분기 순 시장성 차입 규모를 5690억 달러(약 819조 원)로 추정했다고 보도했다.
7월보다 210억 달러 줄어든 4분기 차입 전망
재무부는 지난 7월 4분기 차입 추정치를 5900억 달러로 내놨었다. 이번에 하향 조정한 규모는 당초보다 210억 달러(약 30조 원) 적다. 재무부는 10월 초 재무부 일반계정(TGA) 잔액이 8910억 달러(약 1282조 원)로 나타나 예상치인 8500억 달러(약 1223조 원)를 웃돌아 차입 규모를 줄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차입 추정치는 2023년 같은 기간 기록한 역대 최고치 7760억 달러(약 1117조 원)보다 크게 적은 수준이다. 블룸버그 통신도 같은 날 재무부 발표를 인용해 차입 규모 감소가 분기 초 높은 현금 잔액 때문이라고 전했다.
재무부는 2026년 1~3월 분기에 5780억 달러(약 832조 원)를 빌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2024년 같은 기간 기록한 7480억 달러(약 1076조 원)보다 훨씬 적다. 금융권에서는 연방정부가 재정 건전성을 높이려는 움직임으로 풀이하고 있다.
채무한도 교착에서 벗어나 현금 쌓아
재무부 현금잔액이 늘어난 배경에는 지난여름 이후 재무부가 단기 국채 발행을 대폭 늘려 재정 여력을 쌓은 데 있다. 의회의 국가채무한도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재무부는 일반계정 잔액을 써야 했다. 7월 3130억 달러(약 450조 원)까지 줄어든 잔액은 지난주 1조 달러(약 1439조 원)를 넘어섰다. 재무부는 8500억 달러(약 1223조 원)를 목표 현금 잔액으로 정해놓고 있다.
원문에 따르면 재무부는 지난여름 이후 기록적인 규모의 단기 국채를 발행하며 금고를 다시 채웠다. 현금 잔액은 7월 3130억 달러(약 450조 원)로 바닥을 드러냈다가 지난주 1조 달러 이상으로 급증했다.
대법원 관세 심리가 최대 변수...차입 규모 달라질 수도
재무부의 차입 추정치에는 여러 불확실한 요소가 있다. 재무부 고위 관계자는 관세 수입이 줄어들 경우 차입 추정치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대법원이 오는 5일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의 합법성을 심리하기 때문이다.
CNN은 지난 3일 미국 기업들이 9월 말까지 관세로 약 900억 달러(약 129조 원)를 냈다고 보도했다. 이는 2025 회계연도 전체 관세 수입의 절반이 넘는 규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폭스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대법원이 자신에게 불리한 판결을 내리면 "돈을 돌려줘야 할 것"이라며 기업들에 이미 받은 수십억 달러를 환불해야 한다고 밝혔다.
SCOTUSblog는 지난달 30일 이번 사건이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부과 권한을 시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977년 제정한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따라 중국, 멕시코, 캐나다를 포함한 전 세계 수입품에 관세를 매겼다.
재무부는 분기별 차입 계획을 통해 국채 발행 규모와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는 연방정부의 차입 규모가 국채 시장 유동성과 금리에 곧바로 영향을 주는 만큼 재무부 발표를 주목하는 분위기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뉴욕증시] AI 거품 우려 속 3대 지수 하락](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0506200507526be84d87674118221120199.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