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머스크의 xAI, 엔비디아 지원 사우디 데이터센터 첫 고객 된다

글로벌이코노믹

머스크의 xAI, 엔비디아 지원 사우디 데이터센터 첫 고객 된다

엔비디아-AMD-퀄컴, AI용 칩·시스템 총동원…‘주권 AI’ 프로젝트로 국가 안보·문화 보호 목표
테슬라와 xAI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왼쪽)가 19일 워싱턴DC 케네디 센터에서 열린 미-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엔비디아 CEO 젠슨 황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테슬라와 xAI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왼쪽)가 19일 워싱턴DC 케네디 센터에서 열린 미-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엔비디아 CEO 젠슨 황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엔비디아가 지원하는 사우디아라비아 대형 데이터센터의 첫 번째 고객이 될 전망이다.

19일(현지시각) CNBC에 따르면 엔비디아와 xAI는 사우디아라비아에 건설 중인 데이터센터에 수십만 개의 엔비디아 칩을 장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머스크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모두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 투자 포럼에 참석했다.

이번 발표는 지난 5월 엔비디아가 사우디아라비아 휴메인(Humein) 프로젝트에 500메가와트 규모 전력을 사용하는 칩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힌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이날 휴메인은 이번 프로젝트에 약 60만 개의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투입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휴메인은 올해 초 사우디 공공투자기금(PIF)이 소유한 프로젝트로 출범했다.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함께 사우디를 방문했을 당시 처음 공개됐다.

해당 시설은 엔비디아가 강조하는 ‘주권 AI(sovereign AI)’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엔비디아는 국가가 AI를 위한 데이터센터를 구축해야만 국가 안보와 문화 보호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 이는 소수의 하이퍼스케일러를 넘어선 엔비디아 AI 칩의 잠재적 거대 시장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CNBC는 또한 휴메인 프로젝트에 AMD와 퀄컴의 칩 및 AI 시스템도 활용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날 AMD의 리사 수 CEO와 퀄컴의 크리스티아누 아몬 CEO는 사우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기리는 국빈 만찬에도 참석했다.
보도에 따르면 AMD는 2030년까지 최대 1기가와트(GW)의 전력이 필요한 칩을 제공할 예정이다. AMD가 공급하는 칩은 AI용 인스팅트 MI450 GPU이며, 데이터센터를 위한 추가 인프라도 제공할 예정이다.

퀄컴은 10월 처음 공개한 데이터센터용 신형 칩 AI 200과 AI 250을 휴메인에 공급한다. 휴메인은 해당 칩을 200메가와트 규모로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