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일각에서는 일본 부동산 시세를 끌어올리는 원인으로 외국인들의 투기적 성향의 부동산 취득이 지목이 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 정부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지난 25일 외국에 주소를 둔 사람의 부동산 취득 등에 대해 처음으로 실시한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18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도쿄, 오사카, 나고야 3대 도시권과 삿포로, 센다이, 히로시마, 후쿠오카 지방 4개 시에서 취득·등기된 약 55만 세대를 대상으로 했다.
조사 결과, 도쿄 23구는 3.5%, 도심 6구(치요다, 주오, 미나토, 신주쿠, 분쿄, 시부야)는 7.5%로 나타났다. 도심 6구는 2024년 3.2%에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오사카시는 4.3%, 나고야시는 0.4%였다.
도쿄 23구 취득자의 국·지역별로는 대만이 과반수를 차지했고, 중국 등이 뒤를 이었다.
카네코 야스시 국토교통상은 25일 각료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외국인 거주자의 아파트 취득에 대해 “일부에서는 최근 현저한 증가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도쿄 23구의 신축 아파트 평균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20.4% 상승한 1억3064만 엔을 기록했다.
국토교통성은 투기 목적의 전매가 가격 급등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만큼 2024년 1~6월에 구입된 신축 아파트 중 1년 이내에 매매된 비율도 조사했다. 도쿄도는 8.5%, 도쿄 23구는 9.3%, 도심 6구는 12.2%로, 이 역시 도심일수록 비율이 높았다.
현재 일본 정부는 부동산 가격 급등을 조절하기 위해 외국인 거래 실태를 상세히 파악, 부동산 등기 시 소유자의 국적 기재 의무화를 검토 중이다. 업계 단체인 부동산협회도 25일 단기 매매 방지책으로 1개 물건당 구매 세대 수를 제한하고 인도 전 재판매를 금지하는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뉴욕증시] 금리 인하 기대감 속 3대 지수↑](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2606445305949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