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SK㈜ C&C, 탄소중립 맞춤형 공급망 관리로 글로벌 환경규제 지원

글로벌이코노믹

SK㈜ C&C, 탄소중립 맞춤형 공급망 관리로 글로벌 환경규제 지원

ESG 진단부터 탄소감축 인증, 배출량 관리
넷제로 엔드 투 엔드(End to End) 서비스 완성
박준 SK(주) C&C Digital Tech.센터장(왼쪽)과 전병기 누빅스 대표(가운데), 함진기 글래스돔 법인장이 '탄소 중립 실현 및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위한 디지털 넷제로 서비스 개발 협약' 후 기념 촬영하는 모습. 사진= SK(주) C&C이미지 확대보기
박준 SK(주) C&C Digital Tech.센터장(왼쪽)과 전병기 누빅스 대표(가운데), 함진기 글래스돔 법인장이 '탄소 중립 실현 및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위한 디지털 넷제로 서비스 개발 협약' 후 기념 촬영하는 모습. 사진= SK(주) C&C
SK㈜ C&C가 탄소중립 실현과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비즈니스 공급망 탄소배출 및 LCA(Life-Cycle Assessment, 제품 생애 전 과정 환경 평가) 종합 관리 서비스를 선보인다.

SK㈜ C&C는 24일 LCA 솔루션 기업 글래스돔코리아(이하 ‘글래스돔’), 밸류체인 기업 간 데이터 호환 플랫폼 사업자 누빅스와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플랫폼 구축 및 사업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SK-u타워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박준 SK㈜ C&C Digital Tech.센터장, 함진기 글래스돔 법인장, 전병기 누빅스 대표 등 사업 관계자가 참석했다.

SK㈜ C&C는 이번 협약을 통해 ESG 컨설팅을 시작으로 △ESG 종합 진단 플랫폼 ‘클릭(Click) ESG’ △탄소감축 인증·거래 플랫폼 ‘센테로(Centero)’에 이어 스콥3(Scope3) 수준의 탄소 배출량 관리가 가능한 플랫폼까지 갖추면서 디지털 넷제로(Net Zero)의 엔드 투 엔드(End to End) 서비스를 완성하게 된다.
이번 협약은 국내 기업의 글로벌 탄소 배출 규제 대응 지원을 위해 이뤄졌다. 실제로 유럽연합(EU)은 지난 4월 수입품 제조 과정에서 EU가 정한 탄소 배출량 기준을 넘긴 제조사에게 배출권 인증서 구매를 강제시키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시행을 확정했다.

당장 자동차용 배터리 수출 기업들은 이르면 2024년부터 탄소발자국 정보를 공시해야 하며 철강·알루미늄·비료·전기·시멘트·수소제품 등 6개 품목을 수출하는 국내 기업들도 오는 10월부터 탄소 배출량을 의무 보고해야 한다.

3사는 협업을 통해 글로벌 탄소배출 규제 흐름에 맞춰 실제 데이터 기반으로 스콥3의 LCA 데이터 관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디지털 넷제로(Net Zero) 플랫폼’을 개발한다. 향후 디지털 넷제로(Net Zero) 플랫폼에 온실가스 배출량 예측 등 AI·빅데이터 분석 기능을 추가한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 고도화 개발도 추진한다.

기업들이 수출 규제 상황과 시장 니즈에 맞춰 비즈니스 밸류체인 상 온실가스 배출 관련 데이터를 보다 쉽고 빠르게 수집·분석·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SK㈜ C&C는 현재 추진 중인 국내 주요 제조 기업의 제품 단위 탄소배출 LCA 데이터 관리와 중립적인 공급망 관리 서비스로 넷제로 사업에 속도를 냄과 동시에 디지털 넷제로 플랫폼 적용 분야 확대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3사는 오는 25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도 함께 참여해 디지털 넷제로(Net Zero)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공동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강화키로 했다.

함진기 글래스돔코리아 법인장은 “디지털 넷제로 기술을 보유한 SK㈜ C&C와 함께 제조기업들의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ESG 경영 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전병기 누빅스 대표는 “누빅스는 글로벌 표준 데이터 호환 기술 기반의 VCP-X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기업들에게 규제 대응을 위한 구독형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제공하고 수출 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 SK㈜ C&C Digital Tech.센터장은 “기업 맞춤형으로 수집한 탄소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넷제로(Net Zero) 서비스를 통해 수출 제조업을 비롯한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환경규제의 파고를 잘 넘어갈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김태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dkim@g-enews.com